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정형외과

xndktlwk
xndktlwk

27개월 남자 아기 어깨(겨드랑이 밑) 질문드립니다 문제 없을까요?

성별
남성
나이대
2

안녕하세요. 27개월 남자 아기 키우고 있는 아빠입니다. 어제 아기랑 놀아주다가 천장이 높은 곳에 있어 저희 아기가 높게 뜨는것을 좋아해 겨드랑이 밑 어깨를 두손으로 받치고 들어주고 받는 것을 반복하다가 조금 아이를 높게 던지는 형태처럼 높이 띄워주었는데, 순간 못 받을뻔했습니다. 다행히 잘 받았는데 아이의 오른쪽 옆구리에 제 왼손을 받치고 왼쪽 어깨 밑 겨드랑이에 제 오른손을 받치는 형태로 받았는데, 아기는 그 이후에 별 탈 없이 잘놀긴합니다.

제가 너무 순간 높게 아이를 올려버려서 좀 저혼자 놀란 상황인데, 아기 어깨에 무리가 가지는 않을까요?

예전에 정형외과에서 다른 얘기를 하다가 여쭤본 부분은, 어깨 받치는 것은 크게 무리없다고 하셨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겨드랑이와 어깨를 잡아 높이 띄우는 놀이는 큰무리가 되지긴하지만 순간적으로 높이 던지는건 어깨근육에 미세한 긴장을 유발할수있습니다 아기가 통증이나 불편함없이 잘놀고있다면 다행이지만 반복적으로 과도한동작을하는건 피하는걸 추천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동진 물리치료사입니다.

    아이와 놀아주시다 많이 놀라셨군요.

    아이가 보채며 울지 않는다면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될 것입니다.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아기가 높이 뜨는 것을 좋아해 어깨와 겨드랑이 아래를 받쳐 들어올린 뒤 안전하게 받았고, 이후 특별한 증상없이 잘 논다면 대부분 큰 문제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다만, 아이의 어깨 관절은 성인보다 약하고 유연해 갑작스럽게 팔을 잡아 당기거나 비틀리는 상황이되면 견관절 아탈구 또는 인대 손상이 생길 수 있으니 반복적으로 너무높에 던지거나 무리한 동작은 주의해야합니다.

    혹시 아이가 팔을 잘 움직이지 못하거나 아파하고, 어깨.팔.손목 부위가 붓거나 변형을 보인다면 즉각적인 정형외과 진료가 필요하지만, 현재처럼 별다른 이상이 없고 잘 논다면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

    아이들 같은 경우 관절이 아직 연골 위주이고 인대도 성인보다 약해서 어른이 생각하는 것보다 쉽게 아탈구나 견관절의 손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큰 증상이 없다면 다행이지만 만약 아이가 팔을 잘 아쓰려 하거나 팔을 들거나 옷 입힐때 아파하거나 운다면 또는 어깨와 팔꿈치 손목 주변이 붓거나 움직임이 비대칭이라면 가까운 병원에 방문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별다른 이상증상이 없거나 통증을 호소하지 않는 경우에는 크게 이상이 발생하지는 않은 것으로 생각되는데요, 우려가 되는 경우에는 병원에 방문하셔서 관련된 검사를 받아보시고 소견을 들어보시는 편이 좋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크게 아파하지 않고 잘 놀고 있다면 즉각적인 탈구나 골절 가능성은 낮습니다. 하지만 이후 팔을 잘 안쓰거나 누르면 아파하거나 움직일 때 찡그린다면 병원 진료를 권장합니다 앞으로는 아이를 들땐 양팔 아래에서 몸 전체를 받쳐주는 방식이 가장 안전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아기에게 어깨나 겨드랑이 밑을 받치고 들어올리는 것은 일반적으로 무리가 가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의 뼈와 관절은 성인에 비해 아직 미성숙하므로 너무 큰 충격이나 무리가 가는 상황이 반복되면 관절이나 인대에 부담을 줄 수 있어요

    다행히 아기가 그 이후로 별다른 증상 없이 잘 놀았다고 하셨으니, 일시적인 충격이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순간적인 힘이 가해졌을 때 무리한 힘이 아이에게 전달될 수 있으므로, 반복적으로 혹은 과도하게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조심하는 것이 중요해요

    만약 아기가 이후에 어깨나 겨드랑이 부위에 통증이나 불편함을 호소하거나, 팔을 잘 움직이지 않거나 부자연스러운 자세를 취한다면, 병원에서 소아 정형외과를 통해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