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색다른콜리160
색다른콜리16023.05.16

왜 먼 곳 그리고 내부를 들여다 볼때는 자외선을 쓰나요?

적외선도 어느정도 신호 밑 탐지 능력을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는데요.

왜 거리가 먼 곳 그리고 내부를 탐지하는데 있어서 적외선이 아닌, 자외선을 쓰는지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적외선은 기본적으로 열을 방출하는 모든 물체에서 방출되는 전자기파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적외선은 먼 거리에서도 신호를 탐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적외선의 탐지 거리는 적외선 발생체의 크기와 방출되는 열의 양, 그리고 적외선 탐지기의 민감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반면, 자외선은 적외선보다 더 짧은 파장을 가지고 있어서, 물체의 표면에 반사되거나, 빛을 투과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탐지가 어렵습니다. 따라서, 자외선은 적외선보다는 내부를 탐지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자외선은 적외선보다 더 짧은 파장을 가지고 있어서, 세부적인 물체의 구조를 파악하는 데에는 더 적합합니다. 예를 들어, 보석이나 화학 물질 등을 분석하는 데에 자주 사용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자외선 망원경이란 모든 전자기파 중에서 자외선만을 모아 관측 하는 망원경이다. 자외선은 파장이 가시광선보다는 짧고 엑스선보다는 긴 전자기파이다. 그런데 우주에서 발생된 자외선은 지구대기를 거의 통과하지 못하므로 자외선망원경은 지구대기를 벗어난 우주공간에 설치해야 된다. 아래 그림은 한국천문연구원이 개발한 과학기술위성 1호의 주 탑재체인 FIMS(Far-UV Imaging Spectrograph)의 모습이다. 한국천문연구원의 자외선망원경이 성공적으로 운영되어 우주나라도 우주망원경 보유국이 되었다. 또한 한국은 GALEX 자외선 우주망원경 과제에 참여하여 많은 연구 성과를 내고 있다

    적외선 망원경이란 모든 전자기파 중에서 적외선만을 모아 관측 하는 망원경이다. 적외선은 파장이 전파보다는 짧고 가시광선 보다는 긴 전자기파이다. 그런데 우주에서 발생한 적외선 중 가시광선에 파장이 가까운 것은 어느 정도 지구대기를 통하므로 지상에서 관측할 수 있지만 가시광선과 파장 차이가 큰 적외선의 경우 지구대기에 의해 거의 차단되므로 우주공간에 망원경을 설치하여야 관측이 가능하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지상용 근적외선망원경은 특별히 따로 만들지는 않고 광학망원경에 적외선을 검출할 수 있는 장비를 부착해서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