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토목공학

훈훈한개미새17
훈훈한개미새17

10월 중순 이후 태풍이 못 올라오는 이유?

대부분의 태풍은 10월 중순 이후는 한반도로 올라오기가 힘들 잖아요. 그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한데 설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한만전 과학전문가입니다.

      태풍의 에너지는 높은 온도와 수증기입니다. 10월은 지구의 자전과 태양과의 공전위치로 인해 태양열을 많이 받지 못하여 차고 건조한 북대평양 고기압이 발달하여 남하 합니다. 또한 태양열이 약하여 해수면 온도도 낮아져 대기의 에너지가 작아 집니다. 태풍이 발달할수 있는 조건인 열과 수증기가 감소하여 태풍이 발달하지 못합니다.

    • 태풍은 기후의 영향으로 발생합니다.
      특히 고온이면서 습기가 많은 공기가 조건부로 불안정한 환경에서 상승하게 될 때 형성됩니다.
      지면에서 수직으로 적란운의 숨은 열이 구름 속의 공기를 데우게 되면
      강한 상승기류가 발생하게 되고 이것이 점점 커지면 태풍이 됩니다.

      따라서 10월 중순 이후에는 태풍이 형성되는 환경이 약해지기 때문에 보기가 힘들어집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태풍의 강도의 영향을 미치는 큰 요인은 수증기량과 강한 저기압입니다. 이 두 요인이 10월부터는 약해지기 때문에 10월부터는 태풍이 우리나라로 잘 오지 않습니다.

      태풍의 강도는 수증기량과 저기압 시스템의 발달과 관련이 있습니다. 여름이나 가을에 강한 태풍이 올 수 있으며, 태풍이 만들어질 때의 환경이 수증기량이 많고 강한 저기압을 만들게 될때 강한 태풍이 됩니다. 그런데 9월 경에는 해수의 온도가 가장 높은 시기이고 이로인해 물의 증발량이 올라가기 때문에 수증기량이 많아져 강한 태풍이 만들어 지는것이죠. 하지만 이후에는 해수의 온도도 떨어지게 돼 증발되는 수증기량이 적어지고, 강한 저기압을 형성하지 못하여 태풍이 잘 형성되지 않으며, 세력이 약해 금방 소멸되어 한반도로 올라오기가 힘듭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