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수찍찍이가 식물 도코마리 발상으로 만들어진게 맞나요?
숲을들어갔다 나오면 옷에 나도모르는사이 붙어있는 도코마리열매나 도깨비바늘의 영감으로 암수찍찍이가 발명되었다고들었는데 맞나요? 그럼 우리 주변에 이렇게 식물의 발상으로 발명된게 또 어떤것들이 있는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암수살인게임인 '암수참사'에 등장하는 캐릭터 중 하나인 '암수찍찍이'는 도코마리(도깨비고사리)를 연상시키는 모습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암수찍찍이가 도코마리 발상으로 만들어졌다는 설은 있지만, 이에 대한 명확한 출처나 근거는 확인되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조인철 과학전문가입니다.
벨로크 테이프(찍찍이 테이프)는 도꼬마리에 영감을 받아서 만들어졌습니다. 스위스 전기 기술자 조르쥬 드 메스트랄은 1941년에 산토끼를 발견한 사냥개를 뒤쫓아 달리다가 산우엉이 우거진 숲으로 뛰어들게 되었습니다. 그 때 옷 여기저기에 산우엉의 씨가 붙어서 옷을 털었는데, 산우엉 씨가 잘 떨어지지 않았습니다. 호기심이 많은 드 메스트랄은 집에 돌아와서 산우엉 씨를 확대경으로 살펴보았고, 산우엉 씨(도꼬마리 씨)가 갈고리 모양으로 생겼다는 것을 발견하였습니다. 그는 이것을 이용하여 마침내 한 쪽에는 갈고리가 있고, 다른 쪽에는 실로 된 작은 고리가 있는 벨크로 테이프(찍찍이 테이프)를 만들었습니다.
식물을 본따 만든 물건에는 웨딩홀에서 많이 볼 수 있는 민들레 조명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도꼬마리는 씨앗 주위로 많은 가시를 가지고 있는데 이 가시 하나하나가 갈고리 처럼 생겼어요 그래서 보통 이런 갈고리가 잘 걸릴수 있는 니트옷에는 잘 붙지만 일반적인 티셔츠에는 잘 붙지 않죠 한마디로 갈고리가 잘 걸릴수 있는, 조금 엉킨 털같은 거에 잘 붙는다고 생각하시면 되고 찍찍이가 도꼬마리의 원리를 그대로 가져온거라 찍찍이가 도꼬마리보다 더 잘붙습니다.
안녕하세요. 박병윤 과학전문가입니다.
생태모방기술을 문의하시는 것으로 보입니다.
생태모방기술은 생물체의 구조와 기능, 시스템 등을 기술에 적용하는 것을 뜻합니다.
- 실생활 적용사례로는
- 대머리독수리가 비행하는 모습을 착안한 비행기
- 빙글빙글 떨어지는 단품열매를 본뜬 프로펠러
- > 상기외에도 수없이 많습니다.
이상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