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느긋한돌고래111
느긋한돌고래111

우리나라는 왜 이렇게 분할상장이 많은건가요?

기업가치가 떨어지는 것 중에 하나가 분할상장이잖아요?

그런데 왜 이렇게 우리나라는 분할상장을 많이하는 건가요?

가치가 떨어질게 뻔하기도 하고 투자자들도 투자를 마다하게 될텐데 기업들은 왜 분할상장은 고집하는 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종영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에서 분할 상장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주된 이유는 기업 지배구조 개선, 사업부별 가치 평가, 그리고 대주주 지배력 강화 등 다양한 목적 때문입니다. 하지만, 분할 상장은 기업 가치 희석과 투자자들의 불신을 야기하여 장기적으로 기업의 성장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기업들은 단기적인 이익보다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주주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분할 상장하여 시총을 합치면 기존보다 커지기 때문입니다

    • 예를들어 카카오라는 기업은 하나의 기업일 때 10조의 가치였지만 분할하면서 기존 카카오는

      4조 다른 분할 기업이 각각 4조,4조,4조가 된다면 총 16조로 그룹의 회장은 볼륨이 더 커집니다

    • 여기서 피해를 입는 사람은 기존 카카오 주주뿐입니다

    • 이러한 뒷통수를 치는 케이스가 많은 것은 기업들이 주주환원이나 가치제고에 대한 관심이 전혀

      없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기업이 분할상장을 하는 목적으로는 기업이 물적분할을 하면 신설회사의 주식을 팔아 자금을 조달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LG화학이 배터리 사업부문을 물적분할해 LG에너지솔루션을 상장한 사례가 있습니다. 또한 대주주의 지배력을 강화하고자 할때 물적분할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기업분할은 소액 주주들의 권리를 침해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비판이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우리나라는 왜 이렇게 분할 상장이 많은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분할 상장을 통해서 기업은 더 많은 투자금을 모으기 위해서인데

    이것이 다른 나라에선 허용되지 않는 방법이고

    투자자들 입장에서는 거의 쥐약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에서 분할상장이 많은 이유는 기업들이 신규 사업 부문을 독립시키거나 모회사의 재무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분할상장을 활용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투자자 입장에서는 모회사의 가치가 희석되고 기존 주주의 이익이 줄어들 우려가 있어 부정적으로 보이기도 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분할 상장을 하면 모회사는 신규회사의 주식을 매도해 자금 조달이 용이해집니다.

    또한 분할상장을 하면 사업 부문별로 전문 경영이 가능해 경영 효율성이 높아집니다.

    지주회사 체제로 가면 경영권을 강화할 수 있어 도움이 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1명 평가
  • 우리나라 주식시장 문화 때문입니다. 일반 주주를 위하기보다는 대주주와 기업 오너 중심 구조입니다. 기업 오너와 대주주 입장에서는 그날 상장을 하는 것이 자본 유입이 더 많아서 이득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분할상장을 통하여

    기업의 외형적 확장에 주력하고

    계열사를 늘리며 더불어서 자금 조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이러한 분할상장을

    지속하는 것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업들이 분할상장(쪼개기 상장)을 하는 주된 이유는 주주환원에 대한 우선순위 보다는 대규모 투자자금을 추가로 유치할 수 있고, 또한 분할된 사업부를 총괄하는 사람의 결정권도 많아지고 인력도 더 쉽게 구할 수 있으며 그룹 전체의 경영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