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조선시대의 지주전호제에 대하여 궁금합니다
제가 알고있는 조선시대 지주전호제가 쉽게말하면 땅가진 양반이나 그런사람들이 땅 빌려주고 일정양의 대가를 받는거가 맞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 질문자님이 알고 계신 것과 같습니다. - 개인이 소유하고 있는 땅을 민전이라고 합니다. - 민전의 경우 직접 농업 생산활동에 참여하는 농민들이 소유한 토지도 있지만, 자신은 토지만 소유할 뿐 직접 농사짓지 않는 사람들도 많았습니다. 전자는 자작농이지만 후자는 지주로서 자신 소유의 토지를 소작인에게 대여해 주고 소출되는 생산량에 따라 분배하였습니다. - 토지 소유주인 지주와 이를 임대받아 경작하는 전호(田戶)가 있는 형식의 토지 소유 형태를 지주전호제라 하였습니다. 
 이러한 제도는 16세기 이후 토지 소유권이 강화됨에 따라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갔으며,- 18세기 이후에는 사회 저변의 다양한 변화와 함께 지주와 전호의 객체도 변화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 지주 전호제는 땅 주인이 소작농에게 땅을 임대, 소작농은 지주에게 절반의 수확량을 바치므로 - 알고계신것이 맞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