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은 낮아지는 데 왜 월세는 그대론가요?
안녕하세요 새침하고 까칠한 까치 486 입니다
집값이 오를 때는 월세를 너도나도 올리 더니 이제 낮아지니깐
그대로 유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주영민 공인중개사입니다.
임차인 입장에서만 보지 말고 임대인 입장에서도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임대인이 아파트를 3억원에 샀다고 치면,
3억원을 은행에 넣어두었다면 4%씩 이자를 받아 연간 1200만원 벌게 됩니다.
그런데 월세로 연간 1200만원 벌지 못하면 굳이 세금내가며, 아파트 보수하면
임대업을 할 필요가 없게 됩니다.
따라서 요즘같이 금리가 오르게 되면 임대인들도 최소 월세는 받아야 유지가 되기 때문에
가격이 떨어지지 않게 됩니다.
이해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최근과 같이 전세, 월세 세입자를 구하기 힘든 상황에서 원하는 대로 보증금 및 월세를 올릴 경우 기존세입자 퇴거에 따른 공실 위험이 매우 높아지게 됩니다. 결국은 임차인의 선택권이 넓어진 만큼 임대인이 원하는 대로 매물을 내놓기는 어려운 상황입니다. 전월세 시세에도 이러한 부분이 나타나있구요.
안녕하세요. 곽대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임대차는 계약기간이란게 있습니다.
집값이 떨어지는게 아직 1년이 안됐으니 그전 월세는 아직 그대로겠지요.
일반적으로는 매매가가 떨어지면 전세가도 떨어지고 전세가 떨어지면 월세도 따라서 내려갑니다.
다만 그 폭은 매매>전세>월세 순으로 차이가 있고 떨어지는 순서도 다르다보니 체감상 월세는 아직도 매매나 전세에 비해 크게 떨어졌다고 느껴지지는 않을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