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물 쓰레기가 환경오염에 미치는 영향은 어느정도가 될까요?
안녕하세요. 환경오염에 대해서 방지 할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열심히 공부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 음식물쓰레기도 환경오염의 주범이 된다고 하는데, 음식물 쓰레기가 환경오염에 미치는 영향은 어느정도가 될까요?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문가입니다.
음식물쓰레기의 경우 분리배출을 잘해야 하는데요.
음식물쓰레기는 여러 과정(세척, 소각 등)을 거치면서 탄소를 발생시키고 있어요.
하지만 분리배출 잘 되어 있는 음식물쓰레기는 세척 등 여러 공정 후 분해하여 사료나 거름 또는 바이오매스로 다시 재활용되고 있어요.
즉, 음식물쓰레기를 줄임으로써 탄소를 줄이는데 동참하고 있어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음식물 쓰레기는 음식을 생산하는 데 사용된 믈,에너지, 노동력 등이 낭비됩니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가 썩는 과정에서 메탄가스를 발생시켜 온실 가스 배출에 기여합니다.
메탄가스는 탄소 이산화보다 대기 중 머무르는 기간이 길어 기후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이나 매립지는 주변 생태계를 파괴하고 환경 오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특히 매립지에서는 지하수와 토양 오염이 발생할 수 있어 생태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칩니다.
또한 전 세계 온실가스의 8-10%가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남는 음식을 최소화 하는 것이 중요하며, 다른 쓰레기와 분리하여 효율적으로 재활용하고,
바이오가스나 퇴비로 변환하는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들이 결합되어야 음식물 쓰레기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고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
음식물 쓰레기는 실제로 거름을 사용할 수 있을 것도 같은데 실상은 환경오염을 시키는 경우가 훨씬 많습니다.
실제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고 사료화 시키는데 처리비용이 매립이나 소각을 하는 비용보다 비싸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 자체를 줄이는 것이 필요합니다
2010년 기준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20% 줄이면 1600 억원의 처리비용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실제로 음식물 쓰레기를 매립하게 될 경우 수분 함량이 80% 이사잉라 쉽게 부패하여 매립시 질소와 황화합물 로 인해 대지가 오염되고 악취발생으로 인해 파리나 모기같은 벌레가 생기는 2차피해가 발생하게 됩니다.
만약 소각을 하게 될 경우 수분함량이 높아 소각 효율이 떨어지고 완전연소가 일어나지 않고 불완전연소가 일어나게 되는데 이때 유해물질이 발생하여 질소나 황화합물 같은 대기오염물질이 또한 발생하게 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