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알뜰한참매216
알뜰한참매216

미꾸라지는 어떻게 모기를 잡아먹어요?

저는 미꾸라지가 모기의 천적이라는 이야기를 많이 들었어요.

모기가 너무 많아서 저는 너무 물리고 가렵고 쫓아가야해서 불편해요.

미꾸라지가 사실은 육식성 물고기여서 장구벌레를 잡아먹잖아요.

어떻게 물 속에 사는 미꾸라지가 물 밖에 알을 낳는 성체 모기의 천적이 될 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미꾸라지가 모기의 천적으로서의 역할을 주로 모기의 수생 단계에서 부각됩니다. 모기는 그 생애주기 동안 일부 시간을 물 속에서 유충과 번데기로 보내는데, 이 단계에서 수면 가까이에 위치해 산소를 섭취하며 활동합니다. 이때 미꾸라지는 자신의 포식 행동을 통해 이러한 유충을 주요 먹이원으로 활용합니다.
    미꾸라지는 소형 물고기들 사이에서도 탁월한 포식자 역할을 수행하는데, 이는 그들의 행동 패턴과 먹이 섭취 방식에서 기인합니다. 모기 유충은 비교적 움직임이 느리고, 수면 부근에서 먹이 활동을 하기 때문에 미꾸라지에게 쉽게 포획될 수 있는 대상이 됩니다. 미꾸라지는 이들 유충을 포함한 다양한 수생 곤충의 애벌레를 섭취함으로써 자신의 영양을 충족시킬 뿐만 아니라, 모기 개체 수의 자연적 조절 역할을 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미꾸라지가 물 밖에 알을 낳는 성체 모기의 천적이 될 수 있는 이유는, 모기의 알이 물 속에 떨어지면 미꾸라지가 그 알을 먹이로 삼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미꾸라지는 먹이를 필터링하여 섭취하기 때문에 모기의 알을 먹이로 삼아 번식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장구벌레는 모기의 유충으로, 모기는 산란기가 되면 물이 고인 습지나 웅덩이에 알을 낳고

    알에서 장구벌레가 태어나며 이후 성체 모기가 됩니다.

    미꾸라지는 이런 장구벌레를 먹어 장구벌레가 모기가 되기 전에 제거하므로 모기의 개체수 조절에 많은 영향을 미칩니다.

  • 미꾸라지는 모기의 천적이라기보다는 모기의 유충, 즉 장구벌레를 잡아먹는 역할을 합니다. 모기는 물 속에 알을 낳아 유충으로 부화하는데, 이때 장구벌레 형태로 물 속에서 성장합니다. 미꾸라지는 이러한 장구벌레를 먹이로 삼기 때문에 모기 개체수를 줄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성체 모기는 물 밖에서 활동하기 때문에 미꾸라지가 직접적으로 성체 모기를 잡아먹지는 않습니다. 요약하면, 미꾸라지는 물 속에서 장구벌레를 잡아먹어 모기 개체수를 줄입니다.

  • 안녕하세요. 모기의 천적인 미꾸라지는 주로 야간에 활동하며 한 마리가 하루에 모기 유충인 장구벌레 등 1,100여 마리를 잡아먹어 1㎡에 6~7마리만 풀어놔도 모기방제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즉 성충인 모기를 잡아먹는다기 보다는 이끼 낀 연못이나 더러운 물, 오랫동안 방치된물, 창문 틈새, 고인 물 등에 주로 서식하는 장구벌레를 잡아먹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정확하게 말씀드리면 모기를 잡아 먹는 것이 아니고 모기의 유충인 짱구벌레를 먹는 것입니다.

  • 미꾸라지는 주로 모기의 유충인 장구벌레를 잡아먹습니다.

    장구벌레는 물속에서 꿈틀거리며 살아가는데, 미꾸라지는 민첩한 움직임으로 이들을 쫓아다니다가 빠르게 흡입하는 것이죠. 다시 말해 미꾸라지는 입을 크게 벌리고 장구벌레를 통째로 빨아들입니다. 마치 진공청소기로 먼지를 빨아들이는 것처럼 말이죠.

    미꾸라지는 물속에서 매우 민첩하고 꼼꼼하게 먹이를 찾아다니기 때문에 장구벌레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한 마리의 미꾸라지가 하루에 수천 마리의 장구벌레를 먹어치울 수 있어 모기 개체 수를 빠르게 줄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미꾸라지는 강력한 모기 퇴치 전문가라 할 수 있습니다. 다만 말씀하신 성체가 아니라 유충인 장구벌레를 잡아먹는 것이 다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