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풀리비비123
풀리비비12323.02.22

왜 저온 화상이 발생하는건가요?

화상은 흔히 뜨거운 온도에서 발생한다고 알고있는데요.

전기장판같은걸 통해서도 저온 화상을 입을 수 있다고 하더라구요.

화상을 입을 온도가 아닌데도, 왜 화상을 입게 되는지 이유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22

    저온 화상은 얼음이나 냉각재에 직접 노출되거나, 추위에 노출된 부위가 충분한 보호나 옷차림이 되어 있지 않을 때 발생합니다.

    인체가 얼어붙은 물질에 노출될 때, 물질로부터 열이 흡수되어 주변 온도가 떨어지고, 그로 인해 국소적인 온도도 내려가게 됩니다. 이로 인해 국소적으로 혈액순환이 감소하고, 냉각된 부위의 세포는 수소이온 및 칼슘의 이동과 같은 화학 반응을 유발하면서 손상을 입게 됩니다.

    저온 화상은 일반적으로 겨울철에 많이 발생하며, 손가락, 발가락, 귀, 코, 턱, 머리와 같은 굳이 수면으로부터 노출된 부위에 자주 나타납니다. 저온 화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옷차림으로 본인의 몸을 보호하고, 귀나 손가락과 같은 노출 부위를 보호하는 방법을 채택하면 좋습니다. 또한, 추위에 노출된 경우에는 실내로 이동하여 몸을 녹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저온화상이란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발생하는 화상을 말합니다.

    40도 내외에서 장시간 피부가 노출되면 생기는 화상인데, 사람이 인지를 잘 하지 못하기 때문에

    피부 조직에 열이 쌓여 생기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화상은 열에 의한 세포의 손상이 발생한 것을 말합니다.

    높은 열에 단시간 접촉하여 발생할 수도 있지만 낮은 열에 장시간 노출 되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즉 100의 데미지에 화상이 발생한다고 하면 50데미지를 2초간 받은 경우와 20데미지를 5초간 받은 경우 모두 화상이 발생하는 것과 같은 의미입니다.

    때문에 40도 정도의 온도에 장시간 노출 되는 경우 데미지가 쌓여 화상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주영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저도 이게 이해가 되지않았는데, 친구의 설명에 이해가 바로 되었습니다.

    혹시 수비드 조리법이라고 아시나요? 고기를 저온에 천천히 익히는 방법입니다

    그렇듯이 우리 몸도 사실 고기로 봤을때

    충분히 저온에도 화상을 입을수 있습니다

    같은 열이 꾸준히 발열되면 피부가 화상과 동일하게 익어버립니다

    그런점에서 저온화상은 정말 조심해야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

    저온 화상은 얼음이나 극한한 저온 물질에 노출됨으로써 발생합니다.

    이러한 저온 물질은 신체의 조직을 손상시키고 세포 손상을 일으키며, 특히 수분이 함유된 세포에서는 결정화되어 세포막을 파괴합니다. 이로 인해 염증 반응이 일어나고, 통증과 붓기, 홍조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저온 화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옷을 입거나, 외출 시 얼굴과 손을 보호할 수 있는 장갑과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단백질은 사실 40도만 넘어가도 손상 및 변형이 일어나기 시작합니다.

    그래서 40도 이상 또는 50도 이상의 온도에 계속 노출이되면 저온화상, 즉 세포사멸에 이르는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피부에 열원이 계속 공급이 되기 때문입니다. 이를 통해 열축적이 계속 되고 있는 겁니다. 낮은 온도라도 지속 시간이 매우 길경우 저온화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같은 곳은 아주 약한 세기로 몇번 맞으면 괜찮지만 몇십만번을 맞는다고 생각해보세요. 그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의학적으로 명확한 정의는 없습니다.

    다만, 일반적으로 화상을 유발하는 온도보다는 낮은 40도 이상의 온도에 비교적 장시간 노출되면서 발생하는 화상을 일컫는 용어입니다.

    사람이 아주 뜨겁다고 느끼는 온도에 미치지 않기 때문에 회피 반응이 없어 장시간 노출됨에 따라 피부 조직에 열이 축적되어 피부 세포의 손상이 일어나는 것을 말합니다.

    여기서 중요한것은 열의 축척입니다. 뜨겁다고 느끼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계속 노출되는것이 원인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화상을 입는 높은 온도는 아니지만 40도 이상의 온도에 장기간 노출이 되면 피부조직에 열이 축적되어 피부세포의 손상이 일어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