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편안한영앙129
편안한영앙12923.01.11

뱅크런은 무엇을 의미하는것일까요?

일상생활에서 많이 들리는 경제용어로 뱅크런을 많이 말하던데 실제로 뱅크런은 무엇을 의미하고 어떨때 그러한 용어를 사용하게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뱅크런이란 말 그대로 예금자들이 돈을 찾기 위해 일거에 창구로 몰려들어 집단적 분노와 공포에 휘말리는 사태를 말합니다.

    이런 현상이 왜 버러지냐면, 각 은행들은 고객들의 예금을 100% 현금으로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대한민국의 경우 법정지급율이 7% 수준인데 이 뜻은 고객이 예치한 금액인 1,000억원이라면, 70억은 은행에서 보유를 해야만 하는 자금이고, 나머지 자금에 대해서는 업이나 단체 혹은 개인에게 대출을 해주고 원금과 이자를 돌려 받는 식으로 운용하고 있을 것 입니다. 이렇게 해서 이자 수익을 창출해야지만, 예치된 예금에 대해서 이자를 지불할 수 있기 때문에 자연스러운 행동입니다.

    하지만, 금융위기 등 갑작스러운 외부충격으로 인하여, 단기간에 70억원 이상의 인출을 요구 받는다면, 전부 인출해줄 수 없을 것이고, 은행에서 인출이 불가능하다는 소식을 들은 예금주들이 다 몰려와서 남은 930억원에 대한 예금도 인출을 요구하게 되는, 혼란스러운 일이 발생할 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뱅크런과 같은 경우에는 경제상황 악화로 금융시장에 위기감이 조성되면

    은행의 예금 지급 불능 상태를 우려한 고객들이 대규모로 예금을 인출하는 사태를 말하며

    가까운 예로 중국에서 최근 뱅크런 사태 등이 발생하였으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뱅크런( bank run) 이란 은행이 여러가지 이유( 전쟁 상황, 경제위기 혹은 기타 부도 등) 로 인해 위험한 지경에 처했을 때 그 은행 계좌를 소유하고 있는 예금주들이 불안감에 돈을 다 인출해서 다른 은행으로 이체해 대규모 현금 인출 사태로 인해 그 은행이 결국 패닉 상태에 빠지는 것을 말합니다. 보통 예금 금융 공사는 이러한 예금을 못 받을 상황을대비해서 개인당 5천만 원까지 예금을 보호 해 주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