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 관세 부과로 인해, 국내에 미치는 영향은 어떤 것들이 있나요?
국내 의약품 공장에는 어떠한 타격이 있는 건가요? 미국내 공장이 없는 상황이라면, 현재 관세에서 어떠한 불이익이 가해지는지요! 실제 영향이 어떤식으로 오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에 대하여 현재 무역협상을 완료한 국가들은 상관없다고 하지만 관세가 부과된다면 사실상 의약품에 대한 수출이 막히게 됩니다. 관세가 100%라는 것은 소매가가 2배가 된다는 것이기에 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구매를 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다행히 우리나라의 경우 이를 피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의약품에 관세가 붙는다고 하면 소비자 입장에서는 약값이 오르는 게 제일 먼저 체감됩니다. 수입 단계에서 관세가 더해지면 제약사가 그 비용을 떠안기보다는 판매가에 반영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국내 공장 쪽은 조금 복잡합니다. 원재료나 중간재를 해외에서 들여와 쓰는 경우가 많아 관세가 높아지면 제조 원가가 오르고 경쟁력이 약해집니다. 반대로 완제품 수입 의존도가 큰 품목은 국산 대체품 수요가 늘 수 있어 단기적으로 기회가 되기도 합니다. 미국 내 공장이 없다면 미국 시장에 수출할 때 현지 생산 혜택을 못 받아서 관세 부담이 직접적으로 붙습니다.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의약품에 대한 관세 부과가 예정되어 있는 상황에서 우리나라는 아직까지 무역협상이 완료되지 못한 상황입니다.
의약품에 대한 관세는 미국에서 부과되며 미국 수출기업의 경우 심각한 타격이 예상되며, 지금 상황에서 현실적인 대응은 한국과 미국의 무역협상절차를 마무리하여 15%의 관세로 최소한의 관세라인을 방어하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우리나라의 기업들은 관세부과에 따라 매출감소, 현지 생산 압박, 현지 경쟁사의 시장점유율 확대 등 실질적 피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