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임오군란과 관련해 궁금한 게 있어요~
신식군대 별기군과 구식군대인 무위영, 장어영 사이에서 차별때문에 일어난 임오군란은 각 진영별로 왜 차별을 두게 된것인가요? 그리고 각 군대별로 포진된 병사 수는 어느정도 였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제물포조약은 일본이 일본공사관에서 일어난 피해에 대한 배상과 사죄를 요구하고 일본공사관의 안전을 이유로 일본군의 주둔을 허용하고 주둔비용도 조선이 부담하게 하여 이후 갑신정변(1884년) 때 급진개화파가 일본군을 동원하는데 이용되기도 했다.
2. 수호조규속약에서는 간행이정을 50리로 늘리고 차후 100리로 늘리기로 했다.
# 결국 임오군란으로 조선에서는 청의 내정간섭이 심해졌고, 조선 내에서는 급진개화파가 청의 내정간섭과 개화정책의 지지부진으로 갑신정변이 일어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