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굳센때까치29
굳센때까치2923.11.22

소름이 돋는 상황에서 우리 몸에 닭살이 올라오는 현상의 원리나 이유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소름이 돋는 상황에서 왜 닭살이 올라오는지 알려주세요. 무서운 것을 보거나 기괴한 모습을 볼 때, 소름이 돋는 상황에서 우리 몸은 어떻게 반응하는 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소름이 돋는 상황에서 닭살이 올라오는 현상은 우리 몸의 자연적인 반응 중 하나입니다. 이는 우리 몸이 위협적인 상황에 노출될 때 생존을 위해 발생하는 생리적인 반응입니다.

    우리 몸은 위협을 감지하면 뇌에서 스트레스 호르몬인 에피네프린과 노르에피네프린을 분비합니다. 이 호르몬들은 혈관을 수축시켜 혈액의 유동성을 높이고 근육을 긴장시켜 준비 상태를 유지합니다. 이 과정에서 혈액이 근육 주변으로 집중되고 이로 인해 피부의 표면 온도가 낮아지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면서 피부에 닭살이 올라오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는 혈액이 근육 주변으로 집중되면서 피부 주변의 작은 근육들이 수축하면서 발생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소름이 돋는 상황에서 닭살이 올라오는 것은 우리 몸이 위협을 감지하고 생존을 위해 준비하는 자연스러운 반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반응은 우리 몸의 생존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1.22

    안녕하세요. 김형준 과학전문가입니다.


    소름이 돋을 경우 뇌에서 교감신경이 활성화됩니다. 교감 신경이 활성화되면 닭살이 돋고 심장이 빨리 뛰고 호흡 속도가 빨라지고 혈압이 올라가고 이러한 현상들이 동시에 일어납니다. 이는 신경에 각인된 고유의 현상입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 몸에 털은 세워지면서 중간에 공기층을 만들어서 체온을 보호하기 위한 기능을 했었습니다 .

    하지만 현대인은 옷을 입고 있기 때문에 이런 기능은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으며 우리 몸에 털이서는 이유는 교감신경이 있습니다 교감신경을 잘못했을 경우 모근에 긴장이 돼서 털이 설 수 있는데이 교감신경은 주로 무섭거나 놀란 상태에서 활성화 되게 됩니다 이런 이유로 무서운 걸 느꼈을 때 털이 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