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내과

마이네임
마이네임

식후 1시간 혈당 270 질문드립니다

나이
65
성별
여성
복용중인 약
혈압약,고지혈증약
기저질환
고혈압

당화혈색소 5.5정도 나오고 공복혈당 100미만 입니다

근데 식후 밥 한공기반정도 먹고 생선구이 볶음김치먹고 1시간후 아들이랑 혈당 측정했더니 아들은 40세 남자는 122 나왔구요

저 65세 270이 나왔습니다

1시간 혈당은 높고 당화혈색소랑 공복혈당은 괜찮은데

약을 먹어야 할정도일까요?

아님 탄수화물을 쫌 줄여서 섭취하고 식후 활동량을 늘리고 해야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

    식후혈당이 높으시네요

    오늘 식후혈당을 측정하였을 때 드신 음식은 가능한 피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이 정도 혈당이 지속이 된다면 약 드셔야 합니다.

  • 1시간 혈당이더라도 270이면 많이 높습니다. 다만 보통 2시간 혈당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2시간 혈당도 확인해보시길 바라며, 2시간 혈당이 200 넘게 나오고 그러한 현상이 반복된다면 당화혈색소가 괜찮더라도 당뇨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기 때문에 관련된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의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식후 1시간 혈당 수치가 270으로 나오는 것에 대해 걱정이 되실 수 있습니다. 식후 혈당이 높게 나오는 경우는 종종 발생할 수 있으며, 식사 내용, 식사량, 신체 활동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현재 당화혈색소가 5.5로 비교적 정상 범위에 있으나, 식후 혈당 관리 역시 중요합니다.

    일단 식사 후 혈당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식사 내용을 조금 조정해볼 수 있습니다. 탄수화물 섭취를 줄이고, 혈당 변동을 완화할 수 있는 식이섬유와 단백질의 비율을 늘리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식후 산책 같은 가벼운 운동을 통해 혈당을 낮추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약물 복용 여부에 대해서는 현재 공복혈당과 당화혈색소가 정상 범위에 있는 점을 고려할 때, 즉시 약물 복용이 필요하지는 않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정 기간 동안 식이 조절과 운동을 통해 관리해보시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높은 혈당이 지속된다면 병원에서 전문의와 상의하여 추가적인 평가 및 치료 계획을 고려해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계속 식후 혈당을 체크해보시고 그런 수치가 이어진다면 내분비 내과 방문하셔서 진료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진료 결과에 따라 약물 치료가 필요할수도 있습니다.

    평소 식후 혈당을 조절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우선 혈당지수(GI)가 높은 음식은 가급적 피하시는게 좋습니다. 혈당지수란 해당 식품을 섭취한 뒤 혈당이 상승하는 정도를 수치화한 것인데, 소화·흡수가 빨리되는 식품일수록 혈당지수가 높습니다. 특히 탄수화물 섭취에 신경 써야 합니다. 흰 쌀밥, 밀가루, 설탕 등 단순당 섭취는 줄이고 현미, 통밀, 잡곡 등 복합당으로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식사 순서를 이런식으로 바꾸시는게 좋습니다. 식이섬유가 풍부한 채소와 단백질을 먼저 먹고, 탄수화물을 나중에 먹는 겁니다. 같은 음식, 같은 양을 먹어도 먹는 순서만 바꾸면 혈당이 달라집니다. 식이섬유, 단백질이 위장관에 먼저 들어오면 탄수화물이 들어왔을 때 흡수되는 속도를 늦추고 포만감을 줘서, 식후혈당 최고치를 낮출 수 있습니다. 식사는 20~30분에 걸쳐 꼭꼭 씹어 먹어야 소화가 천천히 되고 포만감이 오래 유지됩니다.

    마지막으로, 식후 한 시간 뒤에 20~30분간 산책을 하거나 운동을 하시면 좋습니다. 식후혈당이 치솟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특히 비만이거나 과체중인 경우, 운동으로 정상 체중을 유지하면 인슐린 저항성도 개선됩니다. 다만, 저혈당 위험이 큰 분들이라면 운동시간을 한 시간 이상으로 길게 잡지 않아야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