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버리지 2.25배가 가장 수익률 높았다는 통계는 사실인가요?
몇 년 전부터 주식이 굉장히 대중화되면서 일반인들도 여러 연구를 하곤 합니다. 그중에서 미국 주식을 투자할 때 레버리지 비율이 2.25일 때 가장 수익률이 높았다는 통계가 있던데 정말인가요?
미래의 최적 레버리지를 구하기 위해서는 확률과 통계에 근거해야 객관성을 얻고, 보편적인 관점으로 접근해야 설득력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저자는 "몬테카를로 방법(Monte Carlo Method)"로 최적 레버리지에 접근했다. 몬테카를로 방법은 간단사게 설명하자면, 원하는 답을 찾기 복잡할 때 무작위로 숫자를 뽑아내서 시뮬레이션을 돌리는 것이다. 무작위 숫자가 나올 확률과 범위를 구할 때 시뮬레이션의 횟수를 늘릴수록 통계를 이용해 원하는 답의 근사치를 구하게 된다. 30년간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결과의 레버리지 배율별 효율을 비교해봤을 때 비용을 반영하지 않았을 경우와 금투세, 운용수수료등을 반영했을 때 결과를 보면 효율면에서 3배 레버리지가 가장 높은 효율을 보이지 않는다. 비용을 고려하지 않을 때는 2.25배가 최적 레버리지이지만, 비용을 고려했을때에는 2배가 최적 레버리지이다.
미국주식도 여러개가 있는데 그중 에스엔피500른 약 3배 레버리지
나스닥은 약 2.25배 레버리지
다우지수는 약 1.8배 레버리지에서 가장 수익률이 높았던것 겉습니다
정확한수치는 아닐수있슺니다
✅️ 미국 주식이 꾸준히 상승해 왔기 때문에 2.25배 정도의 레버리지가 상승장에서는 수익률 극대화에 도움이 되지만 1987년 검은 월요일이나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국면에서는 레버리지 자체가 독이 될 수 있음을 아셔야 합니다.
미국 주식 투자 시 레버리지 비율 2.25가 가장 높은 수익률을 가져왔다는 통계는 참고 자료로 활용할 수 있지만, 투자 전략을 수립하기 전에 다양한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고 이런 레버리지를 활용한 통계자료는 아~ 이런게 있구나 하고 넘어가시는게 좋습니다.
일부 연구에서 미국 주식에 투자할 때 레버리지 비율이 2.25일 때 가장 수익률이 높았다고 합니다. 그렇지만 높은 수익률 만큼 위험도 커지기 때문에 신중한 투자가 필요합니다.
레버리지와 같은 경우에는 어떠한 기간을 계산하느냐에 따라서 다릅니다.
그리고 어느지수 등을 추종하는지에 따라서 다르기에 무조건 2.25배가 수익율이 높았다고만은 볼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