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세포에서 활동전위가 전달되는 과정은?
안녕하세요.
신경세포와 관련하여 질문드리려고 합니다. 신경세포 내에서 활동 전위가 전달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 부탁드립니다.
신경세포에서 활동전위는 세포막의 전기적 신호 변화로,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전달됩니다. 자극에 의해 세포막의 탈분극이 시작되면, 나트륨 이온(Na⁺) 채널이 열리며 Na⁺가 세포 안으로 급격히 들어와 막전압이 상승합니다. 이후 막전압이 일정 임계값을 넘으면 활동전위가 발생하며, 이를 따라 인접한 이온 채널들이 연쇄적으로 열립니다. 이어서 칼륨 이온(K⁺) 채널이 열려 K⁺가 세포 밖으로 나가면서 재분극이 이루어지고, 일시적인 과분극 후 원래의 안정막 전위로 복구됩니다. 이 신호는 축삭을 따라 빠르게 전도되며, 말이집이 있는 경우 랑비에르 결절에서 도약 전도가 일어나 속도가 더욱 빨라집니다. 마지막으로, 활동전위는 신경 말단에 도달하여 시냅스로 신호가 전달됩니다.
신경세포는 외부 자극이나 다른 신경세포로부터 신호를 받습니다. 이 자극이 충분히 강하면 세포막의 전압이 변화하기 시작합니다.
즉, 자극에 의해 세포막의 나트륨 채널이 열리고, 나트륨 이온이 세포 내로 빠르게 유입됩니다. 이로 인해 세포 내부가 잠깐 동안 양전하를 띠게 되는데, 이를 탈분극이라고 합니다.
탈분극이 일정 수준을 넘어서면 활동전위가 발생합니다. 활동전위는 일정한 크기와 모양을 가지는 전기적 신호이며, 이 신호가 축삭을 따라 빠르게 전파됩니다.
활동전위가 지나간 후, 칼륨 채널이 열리고 칼륨 이온이 세포 밖으로 유출되면서 세포 내부가 다시 음전하를 띠게 됩니다. 이를 재분극이라고 합니다.
재분극이 지나치게 진행되어 세포막 전압이 휴지 상태보다 더 음성이 되는 현상을 과분극이라고 합니다. 이후 세포는 다시 휴지 상태로 돌아가 다음 자극을 받을 준비를 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신경세포에서 활동 전위는 자극으로 나트륨 이온이 세포 내로 유입되며 탈분극이 발생합니다.
이후 칼륨 이온이 세포 밖으로 나가면서 재분극이 이루어지고, 이 과정이 축삭을 따라 전파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