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바람에 젖은 소나기
바람에 젖은 소나기

국내선 항공기의 평균 고도는 얼마나 될까요?

저는 제주도가 보이는 남쪽 섬에살고 있는데요 매일 하늘을 보면 비행기가 날아다니죠. 항공기 로고가 보일정도면 제주로 가는 국내선이구나 생각해요. 보통 국내선 항공기는 몇미터로 날고있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국제선 항공기의 고도도 알고싶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위대한거북이239
    위대한거북이239

    민간 항공기의 경우 국제선은 10,000m ~ 12,000m의 고도를 날고 있고,

    국내선의 경우는 7500m ~ 8800m 정도의 고도로 비행을 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광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비행기가 성층권에 다닌다고 생각하십니다. 그것이 맞기는 합니다. 성층권은 대류현상이 없어 공기에 대한 저항이 적습니다. 다만 성층권까지 올라가는데 힘들기때문에 또 효율성이 없기 때문에

    국내선의 경우 FL220 ~ FL280 (22,000ft ~ 28,000ft) 까지의 고도를 사용하며,


    국제선의 경우 FL260 ~ FL390 (26,000ft ~ 39,000ft) 까지 사용합니다.

    또 공기가 적어지면 양력이 부족해지고 그만큼 엔진을 이용해야되는데 그만큼 효율이 떨어진다는 뜻입니다. 즉 성층권을 무조건 이용한다고 생각하는 것은 거짓말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보통은 10km정도의 대류권으로 비행하게 됩니다.

    이유는 항공기의 엔진의 작동 가능 산소농도 때문입니다.

    하지만 일부 항공기는 기류를 이용하기 위해 11~12km의 고도에서 비행하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