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이 되면 베란다 창에 물이 많이 생기는 원인을 과학적으로 설명해 주세요.
점점 날이 추워지니까 베란다 창에 김서림이 생기기 시작했습니다.
추위가 심해지면 물이 뚝뚝 떨어지기도 하는데
겨울이 이렇게 물이 많이 생기는 원인을 과학적으로 설명 부탁드립니다.
원인을 알고 겨울을 대비하고 싶어요.
겨울에 물이 많이 생기는 것은 결로 현상입니다.
결로 현상의 주 원인은 실내와 외부의 온도차입니다.
이 온도차에 의해 수증기압이 달라지기 때문에 물방울이 맺히게 됩니다.
따라서 다른 이유로 포화 수증기압보다 현재 수증기압이 높아지면
물체 표면에 물이 응결되어 결로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창문 결로의 원인은 내부와 외부의 온도 차이입니다.
따뜻한 실내에서는 공기중 수증기로 유지되던 습기가 외부의 차가운 공기로 차가워진 창문에 닿게 되면 급격히 냉각되어 액체상태의 물로 변하게 됩니다.
만일 이런 결로를 방지하고 싶다면 2중창을 통해 창문의 온도가 급격히 떨어지는 것을 방지해주고, 실내외의 온도차이가 너무 크게 나지 않도록 해주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습기가 창문에 생기는 이유는 외부와 내부의 온도차가 심할 때 생길 수 있습니다.
집에서 난방을 틀고 생활하다 보면 집안 공기 중에 수증기가 많아집니다. 또한 습한날에는 더욱 많죠. 그런데, 추운 겨울 집 밖은 차갑고 집안은 따뜻할 경우 집 창문은 밖의 온도에 의해 차가워집니다. 그리고 공기중에 떠돌던 수증기가 창문에 닿게되면 열을 빼앗겨 물이되면서 습기가 되는 것이죠.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겨울이되면 실내공기가 오히려 따듯해집니다. 그러나 창문은 바깥공기의 영향을 받아 차가운온도가됩니다.
이상태가되면 실내의 공기중 물방울이 창문에 액화되어 달라붙게됩니다.
이러한 물방울들이 모여떨어지게되면 창틀에 가득차게됩니다.
감사합니다.
냉각에의한 결로 현상입니다.
실내의 수증기가 창문의 차가운 면에 닿게되면 수증기는 응결되어 물방울이 됩니다.
하여 실내의 습도를 적절히 유지하고 환기를 적절히 한다면 결로 현상을 줄일수 있습니다.
창문에 뽁뽂이를 붙이면 내부의 공기가 차가운 창문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게 되므로 결로 현상을 줄일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