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액화 기화 이런용어는 어떨때 쓰는 용어 인가요??
액화 기화 이런용어는 어떨때 쓰는 용어 인가요?? 이게 온도에 따른 변화를 나타내는데 이게 뭔지 궁금합니다. 화학용어로 보이는데 알려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네, 질문해주신 '액화'나 '기화'와 같은 용어는 물질이 상을 바꿀 때 쓰는 표현인데요, 화학과 물리학에서는 물질이 고체-액체-기체 사이를 오가며 일어나는 변화를 상변화라고 부릅니다.
먼저 고체와 액체 간의 관계에서 융해란 고체 → 액체를 의미하며 대표적인 예시로는 얼음이 물로 녹는 과정이 있습니다. 반대로 응고란 액체 → 고체가 되는 과정을 말하며 예시로는 물이 얼음으로 어는 과정이 있습니다.
다음으로 액체와 기체 간의 관계에서 기화란 액체 → 기체를 의미합니다. 이때 증발은 액체 표면에서 서서히 일어나는 기화를 의미하는 것이고, 끓음은 특정 온도, 즉 끓는점에서 액체 전체가 급격히 기화되는 것을 말하며 반대로 액화란 기체 → 액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예로는 수증기가 물방울로 바뀌는 과정이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고체와 기체 간의 관계에서 승화란 고체 → 기체를 의미하며 드라이아이스가 바로 이산화탄소 기체가 되는 과정이고 재승화란 기체 → 고체를 의미하며 겨울에 수증기가 바로 눈이나 서리로 바뀌는 과정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