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산부인과

후덕한대벌래57
후덕한대벌래57

생리가 예정일보다 10일 당겨졌어요

안녕하세요

생리예정일보다 10일 정도 앞당겨져서 시작했어요

이런런은 거의 없었고 규칙적인 편이라 걱정됩니다

나이는 40대 후반이고 갱년기 관련 다른 증상은 전혀 없습니다

혹시 폐경 증세 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검붉은강아지135
      검붉은강아지135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대개 1년간 생리가 없을 때 폐경으로 진단하며 갱년기라고 합니다.

      - 폐경 이행기: 40 대 이후 생리 주기가 불규칙하면서 주기가 길어지는 경우 의심하게 되며 임신이나 다른 내분비학적 이상이 아닐 경우에 폐경 이행기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 폐경: 수술적으로 양측 난소가 모두 제거된 상태는 수술적 폐경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난소의 기능이 소실되어 자연적 생리 후 1년간 생리가 없을 때 폐경으로 진단합니다.

      혈중 여성호르몬 검사 및 난포자극호르몬 검사의 수치를 참고합니다. 이 시기의 호르몬 변화는 월경 전체 주기 동안 난포자극호르몬(follicle stimulating hormone, FSH)의 혈중 농도가 증가되어 있는 것이 특징적입니다.

      증가된 난포자극호르몬으로 인해 월경 주기가 대체로 짧아지고, 난소 기능이 저하되면서 무배란의 빈도가 증가하여 생리 주기가 불규칙해지는 것입니다. 이후 무월경이 초래되고 이러한 상태가 1년간 지속된다면 폐경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전형적인 폐경 증상이 동반되면 진단이 용이해집니다. 또한 호르몬 검사로 혈중 난포자극호르몬 및 에스트라디올(estradiol, E2)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 난포자극호르몬 수치가 증가되어 있고 에스트라디올 수치가 저하되어 있다면 진단에 도움이 됩니다. 호르몬 검사가 도움이 되는 경우는 자궁적출수술을 받아 생리가 없는 경우 등과 같이 진단이 불확실한 경우이며, 혈중 난포자극호르몬이 30~40IU/ml 이상이면 폐경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호르몬 수치는 폐경이행기 동안 심한 변동을 보일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반복 측정이 필요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선익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생리불순 (불규칙한 생리주기) 으로 문의를 주셨습니다.
      원인은 다양할 수 있으며, 다낭성 난소 증후군, 스트레스나 섭식 장애(거식증 또는 폭식증)로 인한 배란 장애, 뇌하수체 종양, 부신 종양, 골반내 양성 종양, 악성 생식기 종양, 갑상선기능항진증, 갑상선기능저하증, 고프로락틴혈증 등과 같은 내분비 질환 등 다양한 질환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원인이 다양할 수 있어 환자분에게 정확한 진단이 어려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산부인과 내원하셔서 초음파와 호르몬 검사 포함하여 진료 보시길 권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