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정책

정직한불곰268
정직한불곰268

미래의 국민연금 수령시기 및 운영방법이 궁금합니다.

앞으로 인구감소가 더 심각해질 예정으로 알고 있습니다. 국민연금 수령과 시기가 점점 늦춰질텐데, 앞으로 어떻게 국민연금이 고갈되지 않게 운영할 것인지 궁금합니다.

인구감소를 감안하여 국민연금을 받는다면, 지금부터 어떻게 운영되어야 할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현재 국민연금의 경우에는 국인연금공단에서 자산운용을 통해서 수익을 창출하고 있으나 손실의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미래에 안정적인 연금을 지급한다는 보장을 하기는 힘든 상황이에요. 그렇기 때문에 국민연금의 경우 개혁을 준비하고 있는데 개혁의 내용은 국민연금을 내는 보험료율을 9%에서 15%까지 점진적으로 상향하는 것과 더불어 국민연금의 수령 시기를 늦추는 것을 함께 고려를 하고 있다고 해요

  • 아무래도 국민연금과같은 경우에는 아무래도 주식 등의 위험자산의 비중을 늘리고 채권 투자 등도 줄일 것으로 보이며 더불어서 소득대체율을 낮추고 더불어서 부담율을 높이는 등 함으로써 운영하여 장기적으로 운영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 질문하신 국민연금에 대한 전망은 다음과 같습니다.

    분명 국민연금은 지금처럼 운영되면 그리 멀지 않은 미래에 큰 어려움을 겪을 것이 분명합니다.

    인구 감소 및 기존의 인구들은 더 오래살기 때문에 수령 기간이 늘어나는 등의 이유로 말입니다.

    그렇기에 앞으로는 더 내고 조금 덜 받거나 더 내고 지금처럼 받는 수준으로 운영될 것으로 보입니다.

  • 국민연금의 경우는 우선 더내고 덜 받는 구조의 개혁이 필수적입니다. 현재 이러한 구조가 지속된다면 빠르게는 2055년 늦어도 2060년에는 국민연금 기금이 고갈되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최근 국민연금에 대한 개혁이 화두이나 더 내고 더 받는 구조는 이러한 현상을 해소할 수 없는 구조로 보입니다. 따라서 일정부분 희생을 감수하더라도 더 내고(국민연금 요율을 올리고) 덜 받는 구조(지급연령을 늦추는)개혁은 필수적으로 보이며, 현재 20~30대의 경우 결국 70대부터 국민연금을 수령할 가능성도 높다고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아직 연금개혁은 확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정부에서 다양한 의견수렴과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국민연금 고갈 문제는 심각하지만, 지금부터 개인과 사회가 적극적으로 노력한다면 충분히 해결할 수 있는 문제입니다. 지속가능한 국민연금 제도를 위해 정부, 기업, 개인 모두가 협력하여 나아가야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