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보험

저축성 보험

세임하트
세임하트

연금저축 v 신탁 v 펀드 가입 고민중이라면?

현재 45세 공무원입니다.

- 현재 싱글로서 연말정산 시 세금 돌려받는 항목이 없어서 연말정산 시 환급목적으로 연금저축가입을 알아보고 있었으나,,

유형이 3가지나 되고 각각의 특징이 다 따로 있어서 고민 중입니다.

1. 월 30만원씩 납입예정

2. 목적은 연말정산시 환급용

3. 10년에서 15년 정도 납입할 예정.

--> 이자율과 안정성의 차이 및 연금 수령시 과세비과세의 차이로 상기 3가지가 나눠지는 것은 알겠는데

당장 1월부터 들어야 하는데 막막하네요.. 고수분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추가사항

현재 급여 중 230만원 가량 저금 중..

- 100만원 정기적금

- 20만원 정기적금

- 30만원 연금저축 예정

- 30만원 은행저금

- 30만원 공무원 공제회

상기 사항은 결혼 시 유지 불가.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성 보험전문가입니다.

      적금을 많이 하시내요.

      지금상황에서 아프시게 되거나 사고로 직장에 나가지 못할경우에는

      본인 적금의 돈을 써야하기 때문에 먼저 종합보험등으로 대비하고

      적금을 들고 연금을 순서대로 들어야 하는점 참고바랍니다.

      답변이 도움이 됫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종 보험전문가입니다.

      올해부터 세법개정으로 연금저축보험 새제적격상품 세액공제한도가 증가 했습니다.

      연간 600만원한도로 최대99만원까지 세액공제가능합니다.

      이로서 매월50만원씩 납입하면 최고한도로 공제가 가능 해집니다.

      연금저축보험은 비과세 혜택은 없습니다. 연금수령시 3 ~ 5% 정도 소득세가 발생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