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갈수록환영받는해물탕
갈수록환영받는해물탕

유전체를 삽입하면 전기용량이 커지는 이유

유전체를 축전기에 삽입했을때 왜 전기용량이 커지는 건가요? 절연체를 삽입했을때 왜 그런 현상이 일어나는지 원리에 대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축전기에 유전체를 삽입하면 전기용량이 증가하는 이유는 전기장이 유전체 내에서 약해지기 때문입니다. 유전체는 외부 전기장에 의해 내부 전자가 재배열되어 반대 방향의 전기장을 형성하게 되면서 총 전기장이 감소합니다. 이로 인해 주어진 전압 하에서 더 많은 전하를 저장할 수 있게 되어 전기용량이 커지게 됩니다. 이 원리는 축전기의 기본적인 성능을 극대화하는 데 있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유전체를 축전기에 삽입하면 전기용량이 커지는 이유는 유전체가 전기장을 약화시키기 때문입니다. 유전체는 외부 전기장을 반대 방향으로 극화하여 전기장을 상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그 결과, 축전기의 두 도체 사이에 더 많은 전하를 저장할 수 있게 되어 전기용량이 증가합니다. 이는 유전체의 유전상수 값에 따라 달라지며, 유전상수가 클수록 전기용량도 커지게 됩니다. 유전체는 도체 사이의 절연체로서 전하의 흐름을 막지만, 전계에 반응하여 극화되면서 전기용량을 증가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고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

    유전체를 축전기에 삽입하면 유전체 내부의 전기쌍극자가 전기장에 의해 재배열되어

    전기장을 약화시킵니다. 이로 인해 축전기는 더 많은 전하를 저장할 수 있게 되어 전기용량이 증가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순혁 전문가입니다.

    유전체를 축전기에 삽입하면 전기용량이 커지는 이유는 유전체가 전기장을 약화시켜 전하 저장 능력을 높이기 때문입니다. 유전체 내부의 분자가 전기장에 의해 재배열되며, 유도된 전기 쌍극자가 전기장을 부분적으로 상쇄하거든요.

    그렇기 때문에 축전기에 더 많은 전하를 저장할 수 있게 되어서 전기용량이 증가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유전체를 축전기에 삽입하면 유전체 내부의 전기 쌍극자가 외부 전기장에 의해 재배열되어 축전기 내부의 전기장을 일부 상쇄합니다. 이로 인해 축전기 양극판의 전압이 감소하고 같은 전하를 저장하는 데 더 낮은 전압이 필요해져 전기용량이 증가합니다. 즉 유전체가 전기장을 약화시켜 더 많은 전하를 저장할 수 있게 만드는 것입니다.

  • 유전체를 축전기에 삽입하면 전기용량이 커지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축전기는 전하를 저장하는 장치로, 두 개의 전극 사이에 절연체를 끼워 넣어 만듭니다.

    절연체는 전기를 전달하지 않기 때문에 전하가 축적되어 전기용량이 커집니다.

    유전체는 전기장을 가하면 분자가 전기쌍극자로 배열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전기장이 분자에 일을 하게 되어 전기용량이 증가하게 됩니다.

    유전체의 유전 상수가 높을수록 전기 용량이 더욱 증가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