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럭셔리한황로175
럭셔리한황로175

오늘 난마돌 태풍영향이 있는 날인데

평소랑달리 하늘색이 노래요 그래서 야외전체가노랗게느껴지는데

황사낀거처럼 노랗게되는 이유가 뭘까요? 태풍과 연관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위대한거북이239
      위대한거북이239

      노을의 일종으로 보입니다.

      저녁 무렵이 되면 태양의 고도가 낮아집니다.
      태양의 고도가 낮아지면 태양빛의 기울기가 작아지게 됩니다.

      기울기가 작아지니, 통과해야하는 대기층이 기울어지는데,
      파장이 짧은 파란~보라 빛은 대기층을 통과하지 못하고,
      파장이 긴 빨~주황색만 대기층을 통과하기 때문에 노을 빛이 붉어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대기의 수증기량이 늘고, 노을이 형성되어 그렇습니다.

      노을은 해질 무렵, 태양이 지평선에 놓일 때 태양 빛이 지구의 두꺼운 대기층을 뚫고 우리눈에 들어온 빛을 보게됩니다. 이때 짧은 파장 영역대의 빛은 우리눈에 도달하기전에 산란되어 흩어져 버리고, 파장이 긴 빛들 빨강, 주황, 노랑 등의 빛은 산란되지않고 두꺼운 대기층을 뚫고 우리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노을이 노랗고 붉게 보이는것이죠.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심헌용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늘에 노을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공기 분자와 태양빛 간의 관계 때문입니다. 파장이 짧은 색일수록 공기 분자에 의해 빛의 산란이 더욱 잘 일어납니다. 파장은 보라색에 가까운 색일 때 짧고, 빨간색에 가까운 색일수록 깁니다.

      유독 붉은 계열의 노을이 많이보이는 이유는 대기가 건조하기 때문일 확률이 높습니다. 즉, 보통의 여름일 때는 북태평양에 고기압이 위치해 여기서 불어오는 바람은 수분을 많이 머금고 있습니다. 때문에 여름에는 붉은 계열의 노을이 적게 관찰됩니다.

      이번에 태풍이 바다의 수분을 머금고 올라오고 있지만 바람은 고기압에서 저기압으로 불게됩니다. 즉, 열대성 저기압이 우리나라 남쪽 바다 혹은 육지에 위치하고 있으니 비교적 건조한 바람이 우리나라를 관통하여 불겠지요.

      이러한 이유로 비교적 건조한 대기가 조성되어 붉은 계열의 노을을 관측할 수 있는 확률이 높아지게 되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