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재빠른거북이 795
재빠른거북이 79523.08.15

GMO가 위험하다면 왜 GMO를 식용으로 판매할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우리는 꼭 먹거리를 고를때 보는게 NON GMO라고 쓰여 있어야 안심이 됩니다. 유전자 변형식물로 알고 있고 먹지안을려고 하고 있는데 인체에 안좋으면 왜 판매를 할수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충실한살모사196입니다.

    GMO는 유전자 변형 생물체의 약자로, 특정 유전자를 조작하여 특정 특성을 가진 생물체를 만드는 기술입니다. GMO는 1990년대부터 농업 분야에서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현재 전 세계적으로 약 1억 6천만 헥타르의 농지에 GMO 작물이 재배되고 있습니다.

    GMO 작물은 기존의 작물보다 병충해에 강하고, 수확량이 많으며, 영양가가 높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GMO 작물은 화학비료와 농약의 사용을 줄일 수 있어 환경에 도움이 된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그러나 GMO 작물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도 있습니다. GMO 작물은 기존의 작물과는 다른 유전자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알 수 없다는 것입니다. 또한, GMO 작물은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이에 따라 유럽연합(EU)과 일본 등 일부 국가에서는 GMO 작물의 재배와 수입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한국은 GMO 작물의 재배와 수입을 허용하고 있지만, GMO 작물의 표시를 의무화하고 있습니다.

    GMO 작물의 안전성 여부에 대한 논란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GMO 작물의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연구가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내추럴한상사조148입니다. 위험하지만 GMO는 일반 음식보다 훨씬 얻기 쉽고 싸기 때문에 소비가 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