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형사 이미지
형사법률
형사 이미지
형사법률
산뜻한뻐꾸기278
산뜻한뻐꾸기27821.01.24

헌법 제3조, 4조의 관계와 주적

헌법 제3조와 4조의 관계는 어떻게 되는 것인가요?

몇몇 교수들은 3조가 먼저라고 말하고 또 다른 교수들은 4조가 먼저하고 말하고 뭐가 우선시 되는 헌법인가요?

그리고 "대한민국에서는 대한민국의 자유와 이념, 그리고 주권에 대해서 위협을 가할 의도와 능력을 갖춘 개인 또는 단체를 의미한다." 이 법률인지 아닌지 모르는건 어디서 나오는 말 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법률 분야 전문가 이성재변호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우리 헌법재판소는 헌법제3조와 제4조에 관하여 “북한은 평화적 통일을 위한 대화와 협력의 동반자임과 동시에 대남적화노선을 고수하면서 우리 자유민주체제의 전복을 획책하고 있는 반국가단체라는 성격도 함께 갖고 있다”며 이중적 지위를 인정하고 있습니다. 이해에 참조가 되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법률 분야 전문가 김성훈변호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아래 답변은 기재된 내용만을 기초로 작성된 것으로, 구체적인 사실관계에 따라 결론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헌법재판소 2000. 7. 20. 선고 98헌바63 전원재판부

    북한주민과의 접촉이 그 과정에서 불필요한 마찰과 오해를 유발하여 긴장이 조성되거나, 무절제한 경쟁적 접촉으로 남북한간의 원만한 협력관계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도 있으며, 북한의 정치적 목적에 이용되거나 국가의 안전보장이나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통로로 이용될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할 수 없으므로 통일부장관이 북한주민 등과의 접촉을 원하는 자로부터 승인신청을 받아 구체적인 내용을 검토하여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절차는 현 단계에서는 불가피하므로 남북교류협력에관한법률 제9조 제3항은 평화통일을 선언한 헌법전문, 헌법 제4조, 헌법66조 제3항 및 기타 헌법상의 통일조항에 위배된다고 볼 수 없다.

    헌법규정 간에는 우열이 없다는 것이 헌법재판소의 원칙적인 입장입니다. 헌법재판소는 헌법 제3조와 제4조가 상호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는 입장입니다.

    "대한민국에서는 대한민국의 자유와 이념, 그리고 주권에 대해서 위협을 가할 의도와 능력을 갖춘 개인 또는 단체를 의미한다"는 법률이 아니라 대한민국 국방부에서 제시하는 대적관 개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