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 공부 할당량을 하면 용돈주는 방식 어떤가요?
아이들 스스로 공부를 전혀하질않아서요
그래서 하루에 숙제와 공부 할당량을 주고 다하면 용돈을 주는 방식으로 바꾸었는데요.
이건 교육방법이 괜찮을가 해서요?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너무 돈만 바라고 공부를 대충 시간만 때우는 것
정도만 주의하시면 괜찮은 방법인 것ㄱ ㅏㅌ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절대로 해선 안 되는 방법입니다. 공부는 어쨌든 아이들이 해야 하는 일 중 하나인데 그걸 돈을 받고 하게 되면 돈을 위해서 공부를 하게 되는 것으로 바껴 버리게 됩니다. 주객이 전도되는 것이기 때문에 결코 해서는 안 되는 방식입니다.
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나쁘지 않은 방법입니다
효과가 나타난다면
그 교육방법을 사용하시는 것도 괜찮을 것 같네요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보상심리를 이용하여 교육하는 방법은 장단점이 있습니다.
보상으로 인해 공부를 어쩔수 없이 하게 되는 경우 이를 역이용하여
공부를 제대로 하지 않은 상태에서 결과만을 보여주어 보상을 받을 수 있는 단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그렇게라도 공부를 하려고 하는 아이의 행동습관이 바뀌는 장점도 있습니다.
보상심리를 이용한 공부방법보다는 아이가 공부에 흥미를 가질수 있도록
함께 공부를 해보시고 공부양을 너무 많이 주신다면 아이가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으니
흥미를 느낄수 있는 적정량만 할당하여 공부에 대한 중압감을 가지지 않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사실 보상 자체가 나쁜 것은 아니고 유인책도 될 수 있지만 보상만 갖고 아이를 이끌어가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보상은 그 성격 상 보상이 이루어질수록 더 커질 수 밖에 없습니다. 또 간격이 크면 아이가 쉽게 목표를 포기 할 수 있습니다. 상기에서 작성한 바와 같이 아이에게 적절한 유인책은 될 수 있지만 남용하는 경우 아이가 쉽게 포기할 수 있는 단점이 있습니다.
보상의 수준은 아이와 합의를 해서 정하는게 좋습니다. 어찌됐든 행동의 주체는 아이이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정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보상에 의한 동기를 지속시키려면 계속해서 보상이 제공되어야 합니다. 보상이 중단되면 공부도 중단됩니다. 더구나 보상의 양이 점차 많아지지 않는다면 보상의 효과를 기대하기 힘듭니다. 초등학생 때 천원을 받기 위해 공부를 했다면, 중학생 때는 만원을 달라고 할 것이고, 고등학생이 되면 좋은 대학에 들어가는 조건으로 얼마를 달라고 할지도 모를 일입니다. 돈으로 보상하는건은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학습에 전혀 관심이 없고 전혀 하지 않으려고 한다면 어쩔 수 없겠지만,
하지만, 아이가 보상 그 자체에 익숙해져 어떤 일이건 보상 여부부터 따지게 되고 보상이 뒤따르지 않는 일은 하지 않으려 할 수도 있습니다
잘 조절해서 아이의 행동이 보상과 상관없이 공부하는 습관이 강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중요할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활동을 한 후에 일정한 보상을 받는것은 동기 강화에 좋은 활동일수있습니다
다만 보상의 범위가 돈이라면 조금 좋은 보상은 아닐수있습니다.
아이는 용돈을 주는것이 보상으로 되어버리면 공부 숙제 = 돈이라는 인지가 되어버립니다.
용돈이라는것은 아이가 받아야하는부분이고 생활에 필요한 부분인데 이것에 조건을 다는것은좋지 않기에 다른 보상 방안을 해보는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저는 금전적 보상을 주어도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아이에게 과도한 금전을 주는 것만 아니라면, 아이가 원하는 목표(용돈, 금전)를 달성하기 위해
무언가를 한다는 것은 긍정적인 의미라고 생각해요.
그렇게 모은 돈으로 사고싶은 걸 살 수도 있고, 저축을 할 수도 있을 것이며
소비는 아이가 하는 거겠지만요. ^^
그러면서 공부도 하니, 아주 긍정적인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도 성인과 똑같이 동기부여가 필요합니다.
목적이 없는 상태에서 공부를 안하기 보다는
무언가를 목표로 잡고 공부를 하는 것이 나쁘다고
생각은 들지 않으니 포상 등을 지금처럼 주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박일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보상을 이용해 아이의 행동을 유도하는 건 좋지 않습니다.
아이는 결국 보상이 없으면 행동하지 않는 아이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먼저 보상을 요구하는 습관이 생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