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땅에 지렁이가 사는 것이 맞나요?
예전에 지렁이가 살고 있는 땅은 비옥한 땅이라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습니다. 지렁이가 좋은 땅에 사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 건가요, 아니면 지렁이가 땅을 보다 비옥하게 만드는 역할을 하는 걸까요?
보통 지렁이가 많은 땅은 비옥하고 건강한 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말이 항상 절대적인 것은 아닙니다.
지렁이는 흙을 먹고 배설하는 과정에서 유기물을 분해하고 부드럽게 만들어 식물이 흡수하기 쉬운 형태로 바꿔줍니다. 또한, 지렁이 배설물은 다양한 미생물이 살기 좋은 환경을 조성하여 토양의 생태계를 풍부하게 합니다.
그래서 지렁이가 땅속을 뚫고 다니면서 생긴 굴은 토양의 공기 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물 빠짐을 좋게 하여 식물 뿌리가 숨쉬고 양분을 흡수하는 데 도움을 주게 됩니다.
또한 지렁이는 토양 속의 중금속이나 유해 물질을 흡착하여 토양을 정화하는 역할도 합니다.
하지만 모든 경우에 해당하는 것은 아닙니다.
모든 지렁이가 토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며, 일부 종류의 지렁이는 농작물의 뿌리를 갉아먹거나 토양 침식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또한 지렁이는 서식 환경에 매우 민감하기 때문에 토양의 산도, 수분 함량, 온도 등이 지렁이의 생존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모든 토양에서 지렁이가 잘 살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지렁이가 너무 많으면 오히려 토양의 유기물 함량이 감소하거나 병해충 발생률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지렁이는 일반적으로 토양 건강의 지표 중 하나로 볼 수 있지만, 지렁이가 많다고 무조건 좋은 땅이라고 단정하기는 어렵습니다. 토양의 종류, 지렁이의 종류, 밀도 등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지렁이는 땅속에서 유기물이 섞인 흙이나 찌꺼기를 먹고 생활합니다.
이는 토양에 식물에게 필요한 유기물이 많다는 의미로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지렁이같은 생물들이 흙에 많이 서식한다는 것은 흙이 생물이 살 수 있을 정도로 농약을 비롯한 제초제나 비료 등에 오염되지 않았다는 의미입니다.
또한 지렁이가 서식하면서 땅에 포함된 흙을 더 좋은 흙으로 만듭니다.
지렁이가 흙을 먹고 소화하여 배출하면서 포함된 양분과 염류가 식물이 흡수하기 좋은 형태로 변하여 배출됩니다.
또한 땅 아래에서 굴을 파면서 땅속의 가스가 환기되도록하며 이곳을 통해 물이 잘 스며들거나 반대로 너무 많은 양의 물이 배수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땅 속에 서식하는 지렁이는 토양을 비옥하게 만드는 특징을 가진 생명체입니다. 지렁이는 고리 모양을 한 체절이 여럿이어서 거머리와 함께 환형동물(체절동물)로 부르는데요, 150개 정도로 이뤄진 기다란 관 모양을 띠고 있습니다. 사막과 빙하를 제외하고 습기와 흙이 있으면 지구상 어디에서나 사는 지렁이는 매일 자기 몸보다 1.5배나 되는 흙을 파헤치는데요, 1만 ㎡당 지렁이 25만 마리가 있다고 치면 매년 소화하는 흙의 양은 300t으로 지렁이가 만든 굴은 흙에 공기아 물이 잘 스며들게 만들어 줍니다. 지렁이는 땅속에서 하루 종일 굴을 파고, 유기물이나 흙을 먹으며, 거무튀튀한 분변토(똥)를 배출하는데요, 매일 싸는 똥의 양은 자기 몸의 2배나 되며, 구체적으로 먹은 음식의 20%가량만 소화하고, 나머지는 그냥 잘게 부수어 몸 밖으로 내보냅니다. 이때 농업기술센터에 따르면 지렁이 배설물에는 칼슘 등 여러 영양소가 포함돼 있어 식물이 자라는데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또한 일반 유기물보다 더 잘 분해되고 식물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인데요 즉, 움직임 자체로 땅을 비옥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좋은 땅에는 지렁이가 사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지렁이는 토양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들은 유기물을 분해하고, 토양을 통기성 있게 만들어 뿌리의 성장에 도움을 줍니다. 또한, 지렁이가 땅속에서 이동하면서 토양 구조를 개선하고, 수분과 영양분의 이동을 원활하게 합니다. 따라서 지렁이가 많이 사는 토양은 일반적으로 비옥하고 건강한 땅으로 간주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지렁이는 건강하고 비옥한 토양에서 많이 발견됩니다. 그들은 좋은 환경에서 잘 자라며, 이는 토양의 생태계가 건강하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지렁이는 땅속에서 먹이를 찾으며 토양을 파고 다닙니다.
안녕하세요. 박온 전문가입니다.
맞습니다.. 지렁이는 땅을 비옥하게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그들이 땅 속을 파고 다니면서 통기성을 높이고, 유기물을 분해해 영양분을 공급해줍니다. 그래서 지렁이가 사는 땅은 자연스럽게 더 좋은 땅이 되는 것입니다.
지렁이는 땅을 비옥하게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지렁이는 유기물을 먹고 소화하면서 토양에 영양분을 공급하고, 땅을 통기성 좋게 만들어 식물 뿌리의 성장을 돕습니다. 지렁이의 활동으로 토양 구조가 개선되어 수분과 공기가 잘 통하는 환경이 조성됩니다. 따라서 지렁이가 많은 땅은 지렁이의 활동 덕분에 비옥해지는 것이며, 좋은 땅에 지렁이가 사는 것이 아니라 지렁이 때문에 땅이 비옥해지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