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rogermaan
rogermaan

조선 후기 김대건 신부는 어떤 이유로 순교하게 되었는지 궁금합니다

1849년 조선 후기 헌종 임금당시에 천주교 김대근 신부는 순교를 하게 되는데요.. 그가 순교하게 된 당시에 배경이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행복한아하
      행복한아하

      안녕하세요. 안경국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기독교 신앙: 김대건 신부는 조선 후기에 기독교를 신앙하였습니다. 당시 조선은 침묵의 기간으로 알려져 있었으며 기독교는 국가에서 금지되어 있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김대건 신부는 기독교를 신앙하고 숨바꼭질하며 도를 전파하려는 움직임을 보였습니다.


      기독교 전파: 김대건 신부는 자신의 믿음을 전파하고 기독교 신자들을 돕는 역할을 맡았습니다. 조선 정부는 기독교를 외신 종교로 간주하고 침탈적인 요소로 여겼기 때문에 김대건 신부와 같은 기독교 신자들은 체포와 박해를 받을 위험이 있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김대건 신부는 기독교 신앙의 전파와 동료들의 보호를 위해 위험을 감수하며 활동하였습니다.


      천주교 추도연례의 반대: 김대건 신부는 천주교 추도연례를 실시하는 것에 반대하는 입장을 취했습니다. 천주교 추도연례는 조선의 사회적 관습과 유교적 신앙에 도전하는 것으로 여겨져 큰 논란을 불러일으켰습니다. 김대건 신부는 이러한 추도연례 실시에 참여하지 않고 기독교의 신앙과 원칙을 지키기 위해 순교를 선택한 것으로 전해집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김대건은 순교한 앵베르 주교의 후임으로 제 3대 조선대목구장에 임명된 페레올 주교와 함께 상하이에서 라파엘 호를 타고 충청남도 강경을 거쳐 입국했으며 입국 후 은이공소를 중심으로 미사와 고해성사 집전 등을 수행했고 페레올 주교는 김대건 신부에게 선교사들이 입국할 수 있는 길을 개척할 것을 지시했습니다.

      김대건 신부는 중국 어선들이 조기잡이를 위해 조선 해안에 온다는 사실을 알아내고 1846년 6월5일 선교사 입국로 개척을 위한 조선 지도와 편디들을 파리외방전교회 선교사들에게 보내려했지만 이 과정에서 발각되어 해주목에 위치한 황해감영의 조사로 천주교 신부라는 사실이 밝혀져 체포됩니다.

      체포된 김대건 신부의 죄목은 혹세무민과 청나라 밀입국 혐의를 씌웠고 최종적으로 천주교를 믿는다 는 죄명으로 사형 선고를 받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