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대단지사건은 왜 발생하고 어떻게 해결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책을 읽다가 광주대단지사건에 관련된 내용이 나왔는데 흔하게 접한 사건이 아니라 해당 사건이 왜 발생하고 어떻게 해결되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71년 8월 10일 경기도 광주대단지 주민 수만여명이 정부의 무계획적인 도시정책과 졸속행정에 반발하며 도시를 점거했던 사건입니다.
1960년대 서울시는 철거민 대책 중의 하나로 정착지 조성을 통한 이주정책을 시행했고 이를 위해 광주군 중부면의 일부가 광주대단지로 지정되었으며 1969년 9월 1일부터 철거민 이주가 이루어졌고 서울시는 땅을 분양합니다. 그러나 서울시는 기반 시설을 전혀 조성하지 않고 이주민들은 상하수도 시설조차 없는 곳에서 천막이나 판잣집을 지어 생활해야 했습니다. 1971년 6월 조사 당시 취업대상자의 5%만이 단지 내에서 직업을 가질 정도로 지역경제기반조차 없었지만 살 곳을 찾던 각 지역 빈민의 유입이 급증하고 , 1971년 8월 경 거주인구는 15~17만명까지 늘어납니다.
이런 상황에서 비용회수를 위해 서울시는 용지 처분을 서둘렀고, 1971년 총선을 즈음해 대단지의 투기 붐은 절정에 달하나 선거가 끝나자 서울시는 분양증 전매 금지와 함께 높은 가격의 토지대금을 일시상환 조치를 발표합니다.
주민들의 반발이 심해지는 가운데 일부는 광주대단지 제일교회 목사인 전성천을 대표로 대책위원회를 구성, 이들은 1971년 7월 19일 거리집회를 개최하고 대지가격 인하, 분할상환, 구호대책 마련 등을 담은 대 정부 진정서를 제출하지만 서울시는 이에 대한 응답이 없이 분양가격 인상을 일방적으로 통보, 경기도는 세금을 독촉합니다.
대책위는 투쟁위원회로 전환, 9월 10일 최소 3만, 최대 6만에 이르는 대규모 궐기대회를 열었고 당시 궐기대회에 참여한 주민들은 백원에 매수한 땅 만원에 폭리는 말 것, 살인적인 불하 가격 결사반대, 공약사업 말고 사업하고 공약할 것, 배고파 우는 시민 세금으로 자극 말 것, 이간 정책 쓰지 말 것 등을 주장하나 방문하기로 약속한 서울시장이 오지 않자 흥분한 주민들은 성남사업소, 출장소, 파출소 등 평소에 반감을 지닌 관공서를 파괴, 방화하기 시작, 주민들은 기동경비대와 투석전을 벌이며 대치, 차량을 이용한 서울 진출을 시도합니다.
사태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양택식 서울시장은 당일 투쟁위원회 간부와의 협상에서 구호양곡 확보, 생활보호자금 지급, 도로 확장, 공장 건설, 세금 면제 등을 시급히 합의했고 오후 늦게 이 소식을 들은 시위대는 해산했습니다.
이후 서울시는 최종적으로 서울시내 철거민의 광주대단지 이주 중지, 광주대단지 내 재산의 경기도 이관, 경비 보조 등을 결정내렸고 광주 대단지 사건과정에서 검거된 총 22명의 주민은 징역 2년 이하를 선고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