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들어와서 국내증시가 좋은 흐름을 보여주는 이유가 뭘까요?
2025년 미국 증시보다 상승률이 높은 증시가 국내증시라고 하더군요.
2025년 들어와서 국내증시가 좋은 흐름을 보여주는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이전에 주가 하락으로 경기 둔화 우려가 이미 반영되었으며, 현재는 금리 인하 등의 정책 대응으로 경기 개선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미장에 대해서 테슬라를 시작으로 변동이 심하여 고점이라는 지적이고 저도 팔고 나왔네요
저평가 되어 있는 한국으로 들어온다네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저가매수세가 몰리며 상승하는 것도 있고 기존에는 반도체만 증시를 이끌었다면
현재는 방산,조선,바이오,로봇 등이 전부 좋은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우리나라가 반도체 의존도가 다른 산업으로 번지고 있기 때문에 큰 수혜가 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증시는 작년 하반기 지속적인 상승을 계속하면서 신고가를 갱신해왔습니다. 한국증시는 반대로 조정기간을 거쳤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좋은 흐름을 보이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단 국내증시가 작년 4분기부터 가장 밸류에이션 낮은 지수로서 평가를 받게 되었고 이로 인해서 가격메릿트가 있게 되었고 더이상 매물 수급이 거의 나오지 않으면서 매도와 매수 둘다 실종되는 상황이었습니다.
즉 이말은 약간의 모멘텀이 나오고 매수만 나오게 되면 상승조건이 쉽게 연출되는 상황이었던것입니다. 그런 상황에서 1월에는 보통 기업이 향후 1년간의 가이던스 전망과 추정치 미래사업을 발표하는 예산작업이므로 보통 1월에 코스닥중심으로 한국이 강세를 보였고 이런 효과과 1월 코스닥증시가 전세계 1위 상승을 하는 배경이 되기도 하였습니다.
그런 상황에서 트럼프의 취임을 하면서 본격적으로 조선과 방산으로의 우호적인 스탠스와 이 부분은 관세에 대한 피해가 거의 없다시피하고 트럼프의 국내 조선업을 밀어주려는 모습과 조선과 방산의 실적이 크게 좋아지며 국내 조선 방산의 테마가 이어지며 지수 상승을 이끌었습니다.
거기다 샘알트먼효과로 인한 로봇 테마가 붙게되었으며 특히 작년 하반기에 송배전과 초고압직류 케이블의 실적이 크게 좋아지며 국내 송배전 전려인프라망와 초고압직류케이블을 만드는 LS그룹등이 호조세를 보이며 증시의 훈풍을 이끌면서 현재의 주도를 보이게 되엇으며 특히 반도체가 낸드의 현물가격이 다시 돌아서면서 소부장과 반도체의 기업들이 반등을 하며 지수 랠리가 이어진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올해 들어 우리나라 증시가 좋긴하지만 작년 한해 우리나라 지수가 세계꼴지였기 때문에 저는 올해 지수가 좋아도 좋은거 같진 않습니다 그러니 더 올라도 이상한게 아니죠 작년 낙폭과대에 따른 올해 반등이 나오고 있긴 하지만 코스피가 2800 코스닥은 900 은 가야 좀 올라왔구나 할거 같습니다
부디 작년엔 세계 꼴지 증시였지만 올해는 상승률 세계1위 증시가 되길 기원합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마도 가격 메리트가 아닌가 싶습니다. 작년 하반기부터 미국 등 주요국 증시가 호조였는데 한국 증시만 삼성전자 등 주요 종목 위주로 박스권에 갇혀 있었습니다. 이 부분에 대한 저가 매수 유입세로 판단됩니다.
다만, 트럼프 2기 행정부의 한국 주요 산업에 대한 관세 정책 등의 불확실성이 있어서 중장기적으로 상향 추세는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