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니계수가 무엇인지 알려주세요
유튜브로 토론 프로그램을 지니계수가 어쩌고 저쩌고 하는데 전혀 알아듣지 못하여 토론프로그램에 집중을 못하였습니다.
지니계수가 무엇을 뜻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지니계수는 소득불평등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 0에 가까울수록 평등하고 1에 가까울 수록 불평등하는 수치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지니계수는 이탈리아의 인구통계학자 지니가 1912년에 개발한 것인데 한 나라 안에서 마이너스 소득인 가구가 없다는 가정을 전제로, 지니계수는 0과 1사이에서 산출되게 되며, 지니계수가 0에 가까우면 소득분배가 균등하게, 1에 가까우면 불균등하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지니계수는 로렌츠 곡선(Lorenz curve)을 통해서 이해를 도울 수가 있습니다. 로렌츠 곡선은 누적 가구비율과 누적 소득비율 간의 관계를 표시하는 곡선으로 누적 가구비율이 커질수록 누적 소득비율도 커지는 것이 당연하지만 두 지표상의 관계가 완전균등분배가 아닌 상태가 되면 로렌츠 곡선은 대각선 아래에서 점차 증가하는 형태를 띄게 됩니다.
위의 사진에서 빨간색 선이 로렌츠 곡선이며, 소득분배 상황이 완전 균등분배로 이행될수록 로렌츠 곡선은 파란색의 대각선에 가까워지게 되며, 파란색의 대각선과 거리가 벌어지게 된다는 것은 소득불균등이 더 심화된다는 것을 의미하게 됩니다. 지니계수는 완전균등분배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실제 소득불균등이 어느 정도인지를 측정하는 것으로서 위의 로렌츠 곡선을 이용하여서 구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지니계수란 소득분배의 불평등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로서 0~1 사이의 값을 가집니다. 즉, 1에 가까울수록 불평등하다는 의미인데 우리나라의 경우 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수준으로서 정부에서는 이를 개선하기 위한 정책들을 시행중에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지니계수란 빈부격차와 계층간 소득의 불균형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입니다.
지니계수는 0부터 1까지 표현하며 0에 가까울수록 평등, 1에 가까울수록
불평등한 것이니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지니계수란 소득의 불평등 정도를 나타내는 가장 대표적인 소득분배지표입니다. 지니계수는 0에서 1사이의 수치로 표시되는데 소득분배가 완전평등한 경우가 0, 완전불평등한 경우가 1입니다. 지니계수는 로렌츠곡선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로렌츠곡선을 그리기 위해서는 소득이 낮은 사람부터 높은 사람 순으로 전체 인구를 나열하여 총인구를 100으로 설정하고 가로축은 인구누적비율로, 세로축은 이 사람들의 소득을 차례로 누적한 총소득을 100으로 하는 소득누적비율로 설정합니다. 그리고 인구누적비율과 해당소득누적비율을 연결한 선을 로렌츠곡선이라고 정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