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른쪽 중지가 자주 붙습니다.
특별한 운동이나 무리한 작업등이 아닌 가끔 오른쪽 중지부터해서 손바닥이랑 연결부분까지 종종 붙습니다.
손가락 굵기가 정상일때보다 1.2배정도까지 부을때가 생기더라구요.
특별한 처방이나 병원에 가는 거 없이 하루 이틀이면 다시 빠져서 아프진 않은데 , 부을 때면 주먹이 쥐어지지 않을 정도입니다. 어떤 원인이 요인일까요?
병원에서 엑스레이를 찍어보니 특별히 뼈에는 이상이 없다고 하구요. 단순히 염증약만 처방받아왔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권준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방아쇠수지(trigger finger)인 것으로 보입니다.
반복적으로 쥐는 동작(grip)을 강하게 하는 경우 손가락의 굼힙 힘줄이 붓고 도르레가 두꺼워 지면서 힘줄이 끼는 현상으로 통증과 함께 마찰음이 생기고 손가락을 펴고 굽히기가 어려워 집니다.
소염진통제를 먹으면서 휴식을 취해 보시고, 지속된다면 스테로이드 주사시술을 하기도 합니다.
심한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로 넓혀 주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인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방아쇠 수지란 손가락 굽힘 힘줄이 부으면서 A1 도드래라는 것이 두꺼워 져서 도르래 아래로 힘줄이 통과하기 어렵게 되어 발생합니다. 손가락을 많이 쓰는 경우에 특발성으로 발생하며, 통증과 마찰음이 생깁니다.
우선 보존적으로 소염진통제를 쓰기도 하고, 스테로이드 건내 주사가 치료효과가 좋습니다.
스테로이드 치료에 반응이 부족한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를 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손가락이 자주 붓고 불편감이 있다면 관절염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관절염에는 류마티스 관절염과 퇴행성관절염이 있습니다.
류마티스 관절염은 면역과 관련된 항류마티스 약물을 포함하여 주로 먹는 약으로 치료하는 반면, 퇴행성 관절염은 통증 조절과 생활관리로 치료해 나갑니다.
류마티스 치료제는 초기에 정확하게 진단받아 치료를 시작하면 치료 효과가 매우 높은 것으로 밝혀져 있습니다. 비록 완치는 없지만 꾸준한 약물치료로 증상을 완화시키고, 질병의 진행을 더디게 하면서 삶의 질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중간에 치료를 중단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류마티스 치료제는 먹는 약의 종류가 다양한데, 면역세포를 조절하는 약물인 항류마티스 약, 스테로이드, 생물학적 염증 억제제, 소염진통제 등을 증상에 따라 조절하여 사용합니다.
퇴행성 관절염은 통증을 조절하는 것이 가장 우선순위입니다.
걷기나 수영 등 관절에 무리가 가지 않는 운동과 체중조절이 도움이 되고, 쪼그려 앉는 자세를 피하는 생활습관과 필요시 찜질과 물리치료를 받으면 도움이 됩니다. 증상이 심하면 염증을 없애거나 인공관절로 교체하는 수술을 고려해 볼 수도 있습니다.
출처 - 삼성서울병원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경태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방아쇠수지 증후군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손가락이 탁탁 걸리지는 않나요?
가까운 정형외과 의원 혹은 병원 내원하셔서 전문의의 문진, 신체진찰 및 추가 영상학적 정밀검사를 해보시길 권유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선익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손가락이 붓거나 굽히거나 펴는게 안되신지 얼마나 되셨나요?
적어주신 증상으로는 방아쇠수지 증후군이나 류마티스 관절염도 의심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손가락 장시간 사용을 피하시고 충분한 휴식을 취해주신 이후에도 손가락이 잘 움직이지 않으신다면 정형외과 진료 보시길 권합니다.
쾌차하시길 바랍니다.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승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통증 부위를 붕대나 밴드 등으로 고정하여 되도록 움직이지 말고 안정을 취하도록 합니다. 무리한 근육을 충분히 쉬도록 해주는 동시에 스트레칭 운동을 해야 합니다. 휴식과 동시에 염증 치료를 해야 합니다. 소염진통제, 근육 이완제 등을 복용합니다. 증상이 심하면 아픈 곳에 주사 요법을 시행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김승현 의사 드림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호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원인의 가능성이 손목터널증후군있는 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보통 손목터널증후군은 반복적인 손목사용에 의해 나타나게 됩니다.
(그래서 프로게이머나, 프로그래머, 운전사, 요리사, 웹툰작가 등에서 손목터널증후군이 잘 나타납니다.)
또한, 자연적으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손목터널증후군이 생기기도 합니다.
손목터널증후군의 증상에 대해 설명드리면
손가락마디가 저릿저릿한 느낌과 감각이 저하되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보통 저릿하다가 심해지면 내손가락이 아닌듯한 느낌도 날 수 있습니다.)
또한, 손가락을 넘어 손목, 어깨, 목까지 통증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손목터널증후군은 다음의 방법으로 호전시킬 수 있습니다.
깁스
스마트폰 사용 중지
컴퓨터 사용 중지
소염진통제
스테로이드치료
TPI주입
수술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부종은
체액이 신체 조직의 간질에 축적되어 피부가 부어오르는 현상을 말합니다.
원인
진신부종과 국소 부종으로 분류하여 원인을 평가해볼 수 있습니다.
-전신부종은 심장질환, 신장질환, 간질환이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국소부종은 국소적인 순환 이상에 의해 발생하며 림프 부종이나 정맥 순환 이상 그리고 약물에 의해서도 나타납니다.
증상
-피부와 연부 조직에 부종이 발생하면 임상적으로 부풀어 오르고, 푸석푸석한 느낌을 갖게 되며, 누르면 피부가 일시적으로 움푹 들어가게 됩니다.
치료
-원인 질환에 따른 근본적인 치료가 중요합니다. 전신적인 부종의 경우 증상 치료로 이뇨제 사용과 염분 섭취 제한을 할 수 있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서민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많이 놀라셨을 듯 합니다. 증상으로 봐서는 손가락을 움직이는 힘줄의 문제가 아닐까 싶습니다. 당연히 뼈는 괜찮을 거라 보이구요. 증상이 심하지 않다면 냉찜질, 소염 진통제 복용으로 관리해보시면 될 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