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내과

튼튼한비버285
튼튼한비버285

요쯤 들어 가슴이 두근두근 합니다 병원에가야 되는지~

성별
남성
나이대
62

나이가 있어 그런지 조금만 힘이들게 일하면 가슴이 두근두근 해집니다 이럴경우 병원에 가야되는지 아님 민간요법이 있는지 어찌해야 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부정맥의 가능성을 염두해두고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우리 몸은 근육을 수축하기 위해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며, 이 신호는 일정한 경로를 따라 규칙적으로 움직여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게 됩니다. 그러나 전기 신호에 이상이 생기면 심장 박동이 불규칙해질 수 있으며, 이를 모두 부정맥이라 부릅니다. 부정맥이 있는 경우, 환자는 부정맥이 시작되는 순간과 끝나는 순간을 종종 느낄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매우 빠른 맥박이 나타나며, 과거에는 이러한 빠른 맥박이 분당 170~220번 정도로 뛰어 환자가 응급상황임을 인지하고 응급실을 찾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하지만 도착하면 부정맥이 이미 끝난 경우가 많아 관찰이 어려웠습니다.

    요즘에는 많은 분이 스마트 워치나 심박수를 측정할 수 있는 기기를 착용하고 있어, 부정맥이 발생하면 이러한 기기로 심박수를 측정해 오는 것도 좋습니다. 기기가 없으면 가능한 빨리 병원에 와서 심전도 검사를 받으면, 두근거림의 원인이 어떤 부정맥인지 진단할 수 있습니다.

    부정맥이 없는데도 심장이 두근거리는 원인은 다양합니다. 갑상선 질환 등 다른 질환이 원인일 수 있으며, 갑상선 기능 항진증 등이 발생하면 심장이 과도하게 빠르게 두근거릴 수 있습니다. 또한, 월경이나 폐경으로 인한 호르몬 변화, 커피나 탄산음료, 에너지 드링크 등 카페인 섭취가 많은 경우에도 두근거림이 나타날 수 있어 카페인 함유 음식을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만성적으로 두근거림을 느끼는 분들은 병원에서 심전도 검사를 받아 신호가 정상적인 동결절에서 나오는 것인지, 아니면 심방세동과 같은 빠른 맥인지 판단할 수 있습니다

  • 빈맥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크게 심실조기수축을 가슴두근거림으로 인식하거나 실제로 부정맥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심실조기수축은 스트레스 혹은 과다한 카페인등에 의해서도 정상인에서도 자주 관찰될 수 있는 부정맥입니다. 현재 움직임시 해당 증상이 발현된다면 심장 기저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심장내과에 내원하시어 심전도 및 기본 진료를 우선 받아야 하며 현재 심전도에서 아무런 소견이 없다면 24시간 심전도 등으로 원인을 확인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