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엄격한비단벌레5
엄격한비단벌레5

국내 원화스테이블 코인에 채택될 메인넷은?

국내에서도 원화스테이블 코인을 만들려하고 있는데요. 원화스테이블 코인을 만들때 고려되는 메인넷 후보로는 어떤게 있을까요? 원화스테이블 코인이니 국내 메인넷을 사용할까요? 아니면 글로벌 메인넷을 쓸까요? 향후 전망과 그 근거에 대해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국내 원화스테이블 코인에 채택될 메인넷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마도 국내 원화 기반이기 때문에 국내 메인넷이 더 안정적일 것이고

    이에 관련해서 네이버 혹은 카카오 사가 만든 메인넷을

    활용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원화 스테이블 코인을 만들 때 국내 메인넷을 쓸지 글로벌 메인넷을 쓸지는 결국 안정성과 확장성 어느 쪽에 무게를 두느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국내 메인넷은 규제 대응과 원화 결제 연동이 유리하지만 글로벌 유동성과 상호운용성은 떨어질 수 있습니다. 반대로 이더리움이나 솔라나 같은 글로벌 메인넷은 기술 성숙도와 해외 거래소 상장 가능성이 크지만 국내 법 규제와 원화 결제 시스템 연동에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최근 흐름을 보면 국내 발행이라도 글로벌 메인넷 위에 올리고 규제 준수 모듈을 별도로 붙이는 방식이 많습니다. 시장 접근성을 생각하면 이쪽이 현실적이라는 시각이 우세합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국내 메인네트워크를 사용하게 된다면 카이아 체인을 중심으로 할 수 있습니다 다만 한국은 이번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려고 하는것은 한국의 독자적인 시스템으로 하려는것도 아니며 글로벌 트렌드에 맞춰서 따라가려는 움직임이 큰것입니다

    한국은 기본적으로 가상자산에 대해서 매우 보수적이고 정치권이나 기업권이나 모두 부정적입니다 그러다보니 한국의 김치코인은 실제 투자자사이에서도 무시당하며 선호하지도 않습니다 즉 그만큼 국내에선 독자적인 가상자산 디파이 모델도 없다시피하며 시총이 큰곳도 없습니다 그나마 네이버의 핀시아와 과거 카카오의 자회사였던 그라운드가 만든 클레이튼이 서로 합작하여 만든 카이아가 그나마 대안입니다

    이들 카이아포탈이 카이아 디파이 시스템을 구축하며 국내유저를 기반으로 커갔으며 해외유저도 조금씩 생태계에 유입되어 있다는점입니다 그러나 여전히 이 카이아도 규모가 작고 생태계상 아직도 부족한게 사실이며 관련된 디앱도 매우 적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국내 정부는 해외 트렌드에 맞게 따라가는 움직임이기 때문에 자체적인 메인네트워크를 만들기 보다는 그냥 안정적이고 보수적인 입장으로 리플이나 이더리움 솔라나체인을 기반으로 발행하는 시스템으로 이루어질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국내 원화 스테이블 코인 메인넷으로 국내 메인넷이 사용될 가능성이 큽니다.

    카카오의 크라이튼, 네이버의 Finschia, 아이콘루프 등이 유력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아직 구체적으로 나온 얘기는 없지만, 소문으로는 국내 원화스테이블 메인넷은 이더리움, 솔라나 외에 카이아(Kaia)와 아발란체(Avalanche)가 거론되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할 때 무조건 이더리움을 제 1의 발행 지원 네트워크로 시작해야한다는 것입니다. 아무래도 스테이블코인 대부분이 이더리움 기반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유동성을 고려해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