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는 원래 내수경제가 힘든가요?
중국을 제외하고 대만이나 일본 한국의 경우 내수경제로 먹고살기는 불가능할까요? 요즘글로벌적으로 너무 불황이라 문의드려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아시아 경제는 원래 내수 경제가 힘든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모든 아시아 국가들의 내수 경제가 힘든 것은 아닙니다.
다만, 중국, 한국 등의 국가가 최근 내수 경기 침체를 겪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내수경제로 성장이 가능하려면 중국이나 인도처럼 인구가 많거나, 미국이나, 중동국가처럼 자원이 풍부해야 가능합니다. 아시아 국가는 대부분 인구가 많지 않으며 자원빈국이기 때문에 수입에 의존할 수 밖에 없어 무역수지가 좋지 못한 것이 특징입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아시아는 내수경제만으로 어려운 부분이 있습니다.
대만의 경우 수출 주도형으로 TSMC같은 반도체 회사가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고 수출을 하면서 경제 성장의 핵심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한국또한 반도체, 자동차 등 글로벌 수출 주도형 경제 구조입니다.
일본도 가전제품, 자동차 등 수출 주도형 경제 구조 입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중국을 제외한 한국, 일본, 대만과 같은 동아시아 국가들은 대체로 내수 경제만으로는 국가 운영과 지속적인 성장이 매우 어려운 경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이들 국가의 경제 성장 전략과 역사적 배경에서 기인합니다. 한국, 일본, 대만은 2차 세계대전 이후 빠른 경제 성장을 위해 수출 주도형 성장 모델을 채택했습니다. 내수 시장이 충분히 크지 않았기 때문에, 값싼 노동력과 정부의 강력한 지원을 바탕으로 제조업을 육성하고 제품을 해외로 수출하여 외화를 벌어들이는 방식으로 경제를 발전시켰습니다. 특히 반도체, 자동차, 전자제품 등 고부가가치 산업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며 성장해왔습니다. 중국을 제외한 아시아 국가는 내수 경제만으로는 생존하기 어렵다고 보는 것이 맞습니다. 이들 국가는 제한된 내수 시장과 자원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수출을 중심으로 경제를 발전시켜왔으며, 글로벌 경제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아시아 경제의 내수경제는 외부의 자금이 유입되어야 그 활성화정도가 높은 나라들이 있습니다. 가령 중국을 제외한 나라들은 내수경제가 지금은 힘든 상황입니다. 이는 인플레이션 현상이으로 인해 소비심리의 감소가 발생하는 부분이 있으며, 이러한 것들이 디플레이션이 발생한다면 소비심리의 감소로 인해 더 큰 문제가 발생할 수이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무제가 발생하기전에 정책적으로 대처를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오히려 아시아국가 중 많은 나라가 내수경제로 버티는데요. 인구기준으로 약 1억명 이상이라면 내수시장으로 국가 운영이 가능하다고 분석하고 있어서, 중국 외에도 일본, 인도, 인도네시아 등 많은 아시아 국가가 내수 경제로 성장 동력을 보유 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