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어렵게 살고있는 소상공인
어렵게 살고있는 소상공인

두돌 아이 가 잠을자면 이런 행동을합니다..

안녕하세요

아이는 두돌이고요 남자아이 입니다.

아이가 잠이들고 새벽 1~5시 사이쯤에 두세번정도

이런말을합니다. 매워매워 아니야 아니야 이런 행동을

잠꼬대하듯이 짜증을 심하게 내면서합니다...

이런행동이 4일째 이어지고있습니다..

어린이집을 다니고있고 얼마전 두째아이도 태어났습니다.

어떻게 대처하는게 좋을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스트레스성으로 인해서 나타날수도 있습니다.

      둘째가 태어나면 불안감으로 인해서 나올수도 있으며

      우선 아이가 스트레스를 대처해볼수있는 활동들을 찾아서 꾸준히 해보시면 좋겠습니다.

      1명 평가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단순한 잠꼬대인듯 보입니다. 둘째 아이도 태어나어 심리적으로 살짝 불안정한것 같기도하오니 좀 더 많은 애정을 쏟아주세요.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이 커가면서 활동 영역도 넓어지고, 활동량도 많아지면서 나름 스트레스를 받게 될 것입니다.

      그래서 잠을 자다가 꿈을 꾸기도 하고, 소리를 지르거나, 몸부림을 치기도 합니다.

      우리 아이도 낮 동안에 쌓인 스트레스로 인해 자다가 그런 행동을 하는 것 같아요.

      또 동생이 태어나면서 혼자서 독차지했던 사랑을 빼앗겼다란 느낌에 혼자서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건 아닌 지 점검도 해 보셔야 합니다.

      그리고 어린이집에선 아이들 식습관을 바로잡느라 골고루 먹이다 보니 매운 것도 맛보게 하는 과정에서 아이가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지도 점검해 보셔야 할 것 같아요.

      아이를 평소보다 더 안아주시고, 사랑한다라고 자주 말해 주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음식 부분은 어린이집 담임 선생님과 상담을 해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잠꼬대를 한다는 것은

      평소에 수면의 질이 좋지 않거나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경우에

      그럴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근본적 원인을 해소해보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잠꼬대를 짜증내면서 하는 행동은

      야경증의 증상이 아닌가 생각이 되네요

      아이가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잘 케어하시는 것이

      좋은 방법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정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이 자면서 보이는 수면이상행동은 △잠꼬대 △몽유병 △야경증△ 악몽 등입니다. 이 같은 이상행동은 한가지 또는 여러가지가함께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다행히 어린이들의 수면 이상행동은 성장기 뇌신경 발달에 따른 것이 대부분입니다. 청소년기를 지나면서 점차 자연스럽게 사라집니다.

      심리적·육체적으로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일시적으로 나타나기도합니다. 아이가 수면행동장애를 일으키면 잘 토닥여서 안심시킨 후 재우는것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잠을 자다가 깨서 잠꼬대를 하거나 특정 말을 하는 것은

      낮 시간대에 경험에 대한 스트레스나 불안감의 표현입니다.

      스트레스를 받지 않게 해주시고 매운음식에 대하여 표현하였다면 음식에

      대하여 조금 신경쓰시면 됩니다. 경험에 대한 불안증상이 잠꼬대로 표현되는 것이니

      불안증세를 없애주도록 노력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스트레스가 심하여 잠꼬대를 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불안감이 커서 그럴 수도 있고 둘째아이가 태어나서

      이에 대한 부모님의 사랑에 대한 불안감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아이를 안아주시고 평소에 안심시켜주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