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토목공학

고매한크낙새25
고매한크낙새25

사람은 낮에 활동 밤에 잠 이렇게 셋팅돼있다는데 기준이 뭐죠?

같은 사람인데 한국은 낮이고 외국은 밤입니다 그러면 낮과 밤 구분이 어떻게 세팅돼있다는거죠? 피부로 빛을 느껴서 그 사람에게 세팅되나여?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형민 전문가입니다.

      우리의 몸의 경우에는 태양빛에 반응을 많이 한다고 합니다. 따라서 낮에는 활동을 하게 되고 밤에는 잠을 자게 된다고 합니다. 이렇게 생체 리듬이 정해진다고 하니 참고하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낮과 밤은 지구의 자전과 공전에 의해 결정됩니다. 지구는 자전하면서 자전축 주위를 돌아가며 하루에 한 바퀴를 돌게 됩니다. 이때 지구의 자전축은 항상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태양의 빛이 지구의 특정 지역을 비추게 됩니다. 따라서 태양이 비추는 지역은 낮이 되고 그 반대편은 밤이 됩니다.

      그리고 지구는 태양 주위를 공전하면서 1년에 한 바퀴를 돌게 됩니다. 이때 지구의 공전 궤도는 태양과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태양의 빛이 지구의 특정 지역을 비추게 됩니다. 따라서 태양이 비추는 지역은 여름이 되고 그 반대편은 겨울이 됩니다.

      사람의 피부는 태양의 빛을 감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태양이 비추는 지역에 따라 사람의 피부에도 빛의 영향이 있게 됩니다.

      낮과 밤의 구분 기준은 지구의 자전과 공전에 의해 결정되며 이는 지구의 자전축과 공전 궤도의 각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따라서 낮과 밤의 시간은 계절에 따라 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구분 기준은 우리의 생활 패턴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우리의 일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생체시계를 조절하는 중요한 호르몬 중 하나가 바로 '멜라토닌'입니다. 해가 저물면 우리 눈에서 시작된 일련의 분자 반응이 뇌의 솔방 울 샘에 전달되어 '멜라토닌(melatonin)'이라는 호르몬을 분비시킵니다. 멜라토닌이 뉴런과 결합하면 전기신호의 리듬이 바뀌면 서 뇌가 점차 잠에 빠져들게 되는데요. 새벽이 되어 태양빛이 멜라토닌을 파괴하면 뇌는 서서히 잠에서 깨어납니다. 우리가 자 기 전 스마트폰 불빛에 장시간 노출되면 잠을 제대로 자지 못하는 이유 역시, 스마트폰의 청색광이 멜라토닌의 역할을 억제하기 때문 입니다. 또한, 우리가 비행기를 타고 대륙 사이를 이동하는 경우에 우리 생체시계도 이에 따라 바뀌어야 하지만 멜라토닌에 의해 유도 된 잠의 주기는 이를 따라가지 못하기 때문에 시차 적응에 애를 먹게 되는 것입니다.

      출처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 사람은 왜 밤에 잠을 자야 할까?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낮과 밤 구분은 빛에 반응하는 우리 몸의 생체 리듬에 기반합니다. 한국과 외국 시간대 차이가 있을 경우, 처음에는 시차 적응이 필요하며, 빛 노출 조절을 통해 적응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피부는 빛을 감지하지만, 생체 리듬 조절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람의 활동 패턴은 체내 생리적 리듬과 외부 자연적 요인에 의해 결정되며, 일반적으로 체내 생물학적 시계와 자연적 일주기에 따라 설정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람은 인체 시간이 밤에는 자고 낮에는 일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오랜시간동안 그렇게 행동을 하였기에 낮에는 일하고 밤에는 잠이 자도록 인체시계가 정해진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낮에 활동하고 꼭 밤에 자는게 인간의 세팅이 이루어진건 아닙니다. 결국 낮에는 생계를 위한 삶을 살고 밤에는 생명유지를 위한 최소한의 수면을 취하는거죠.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