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월화수목금토일의 명칭의 유래가 따로 있나요?
한 주는 7일을 1주로 하는데요
그 안에서 요일을
월화수목금토일 로 정하고 있는데
이것은 동양에서의 명칭인데요
이렇게 명칭이 붙어있는 이유가
있어요?
뭔가 음양오행 과 관련이 있는가 싶은
느낌이긴 한데 정확하지 않아서
명칭의 유래가 궁금합니다.
또한
영어권에서의 월화수목금토일 은
달 불 물 나무 쇠 흙 태양 과는 다른데요
먼데이 튜즈데이
웬즈데이 썰스데이 프러이데이
새러데이 선데이
이렇게 명명된 데에도
어떤 다른 유래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월화수목금토일의 명칭은 고대 로마에서 시작된 7일제 요일 체계가 동양으로 전해지면서 각 요일에 태양계의 7대 천체(해, 달, 화성, 수성, 목성, 금성, 토성)의 이름을 한자로 붙인 것입니다. 조서시대까지 요일 개념이 없었으며 1895년 근대화과정에서 일본을 통해 도입된 것입니다. 영어권 요일은 명칭은 로마 시화와 북유럽 신화의 신, 그리고 천체에서 유래되었습니다. sunday는 태양의 날, monday는 달의 날, tuesday는 로마의 mars(화성)을 북유럽의 tyr(티르)를 이르는 것입니다. wednesday는 신들의 아버지 오딘, 머큐리, 즉 로마의 mercury(수성)를 말합니다. 그리고 thursday는 천둥의 신 토르, 로마의 주피터(목성)을 말합니다. friday는 사랑의 여신 프리야에서 유래되어 로마의 비너스(금성)을 말합니다. Saturday는 농경의 신 사트르누에 기원한 로마의 saturn(토성)을 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