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증시가 유독 전세계적으로 약세인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근에 미국연준에서 금리인하를 발표하면서 세계 증시가 반등세를 돌아서면서 꽤나 반등을 했는데 우리나라는 유독 거의 오르지 않았는데 그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우리나라의 증시가 유독 약세인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코리아 디스카운트로 지적되는 내용으로
대주주들이 소액 투자자들은 안중에 두지 않고 자신들을 위한 주식 운영을 하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에는
주주환원 등이 상당히 떨어집니다.
자사주 소각이나 배당 등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지배구조의 문제도 있고 아무래도 최근 외인들의
강한 매도로 인하여 증시가 약세를 보이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적으로 하이닉스와 삼성전자 이 두 기업이 코스피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고 이 두기업이 매우 크게하락하면서 국내 코스피지수가 약세보합권의 흐름을 보였으며 거기다 국내 관련된 반도체 소부장기업도 매우 많고 이들 섹터비중이 크다보니 이로 인하여 코스닥시장에도 큰 영향을 준것으로 보입니다.
미국의 엔비디아를 중심이르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도 S&P500지수의 반등대비 약세흐름을 보였으며 이에 한국의 반도체 섹터에도 큰 영향을 주었으며 이 두기업을 중심으로 외국인들의 매도세가 매우 거세게 나왔습니다.
한국의 메모리반도체 기업이 유독 크게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는데 이는 메모리 SPOT가격이 이미 하락하고 있는 상황에서 반도체 피크아웃우려가 강하게 제기되고 있으며 HBM반도체에 대해서 공급과잉우려와 현재의 높은 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보이는 흐름이 보이면서 이런 불확실성과 외국계 리포트로 인해서 국내 반도체 업종 중심의 큰폭의 하락이 최근 며칠간 국내 증시에 가장 크게 영향을 준것으로 파악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 인하를 발표하면서 세계 증시의 반응은 대체적으로 긍정적입니다.
한국 주식시장은 금리 인하의 정책에 큰 반응을 얻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외국인 투자자에게 한국 주식에 큰 매력을 느끼지 못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현재, 한국의 대표주인 삼성전자의 주가 하락과 글로벌 기업의 부재는 투자자의 자금을 이동시키지 못하는 결과를 나타냈습니다.
또한 코로나19 때 시가총액이 몇 배나 뛰었음에도, 높은 배당금으로 주주에게 보상하지 않는 행동들에 실망감을 느꼈을 확률이 높습니다.
이는 한국 주식의 고질병 중 하나로, 미국 주식처럼 확실히 높은 배당금으로 주주에게 보상을 지급하지 않고, 기업의 수익으로 돌리는 모습은 한국 주식이 발전하지 못하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