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데굴데굴
데굴데굴23.02.23

인류의 정착생활은 농업을 하면서 시작된건가요?

최초 인류는 여기저기 떠돌아다니며 수렵생활을 했다고 알고 있는데요. 한 곳에서 정착하며 살기 시작한 것은 농업을 하면서 시작된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23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인류의 정착 생활은 대부분 농업의 발전과 함께 시작되었습니다. 이전에는 사냥과 채집을 통해 생계를 유지하며 방랑생활을 하던 인류가, 약 1만년 전부터 농업을 시작하면서 체계적인 정착 생활을 시작했습니다.

    농업의 시작은 지구의 다양한 지역에서 동시에 일어난 것으로 보이며, 그 발생 시기는 지역에 따라 다양합니다. 예를 들어, 중국에서는 약 1만 2천 년 전부터 벼와 밀을 재배하였고, 이집트에서는 약 6천 년 전부터 하천의 홍수가 끝난 뒤 토양을 이용하여 밀과 보리 등을 재배했습니다.

    농업의 시작으로 인해 인류는 식량을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게 되었고, 이에 따라 인구가 증가하면서 도시와 문명이 형성되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인류는 더 나은 삶의 조건을 위해 기술과 문화를 발전시키며 지금까지 이어져온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남송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인류의 정착은 질문자님이

    말씀하신대로 농업시작을 정착의 초기로

    판단합니다

    그이유는 농업이전에는 수렵이나 채취를통해 먹거리를 조달하는형태로 한 지역에서 이런 행위를 지속하기에는 어려웠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인류의 정착생활은 농업을 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이를 "농업혁명(Agricultural Revolution)"이라고도 합니다.

    인류는 약 1만~1만 5천 년 전부터 농업을 시작했습니다. 이전에는 사냥과 채집을 통해 생활을 유지했지만, 이러한 방식은 식량을 구하기가 어려웠고,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한계가 있었습니다. 따라서 인류는 여러 지역에서 독립적으로 농업을 발견하고 발전시켜 나갔습니다.

    농업의 시작은 작물을 심고 수확하는 방법을 발견한 것에서부터 시작되었습니다. 먼저 인류는 대상 작물을 파악하고 이식하면서 재배 방법을 발견했습니다. 농업의 발전과 함께 더욱 발전된 농기구와 기술이 개발되어 생산성이 높아졌습니다. 이로 인해 인간은 더 많은 양의 식량을 생산할 수 있게 되었고, 이는 인구증가와 함께 문명의 발전으로 이어졌습니다.

    따라서, 인류의 정착생활은 농업을 시작으로 발전되어 왔으며, 농업은 인류의 생존과 번영을 위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안녕하세요. 불꽃 과학전문가입니다.

    농업이 인류의 정착생활을 발전시킨 중요한 요인이 되지만 인류의 정착은 수렵채집사회에서 부터 시작된 것으로 보여집니다. 구석기 시대에 이미 집단 거주지들이 발견되고 있고 무리를 지어 살았던 것으로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맞습니다.

    현재까지의 가설로는 농업을 시작하면서 굳이 위험하게 돌아다니지 않고 의식주를 해결할 수 있어서 정착하게 되었다고 보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맞습니다. 농경사회가 되면서 경작을 해야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정착이 됩니다. 경험을 기반으로 해서 다시 경작을 하고 음식 등을 수확을 하여 생존을 한 것이죠, 즉 자급자족의 사회가 된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