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제시해주신 어깨 MRI 보고서에 따르면, 몇가지 이상이 발견되었습니다.
Bursal-sided partial-thickness of SSP: 견갑상완근(Supraspinatus muscle, SSP)의 부분적인 두께 감소가 관절낭 쪽에서 발견되었습니다. 이는 견갑상완근의 일부가 얇아진 것을 의미하며, 이는 흔히 회전근개 파열과 관련이 있습니다.
Underlying tendinosis of SSP, ISP, and SSC: SSP, 적응근(Infraspinatus muscle, ISP), 그리고 소원근(Subscapularis muscle, SSC)에 건염이 있음을 나타냅니다. 건염은 힘줄의 염증이 아닌, 퇴행성 변화를 의미합니다.
Mild SASD bursitis: 어깨의 저위에 위치한 점액낭염으로, SASD(Subacromial-Subdeltoid) 점액낭의 경미한 염증을 말합니다.
Superior labral injury: 상부 관절唇 손상을 나타내며, 이는 관절唇(어깨를 안정시키는 연골 조직)이 손상되었음을 의미합니다.
Tendinosis of LHBT, intra-articular portion: 긴두 삼두근 힘줄(Long head of the biceps tendon, LHBT) 내 관절 부위에 건염이 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Arthritis of AC joint: 쇄골 상단 관절(Acromioclavicular joint, AC joint)의 관절염을 의미합니다.
Subcortical cystic change of posterior humeral head: 상완골 머리의 후방에서 작은 낭종성 변화가 있음을 말하며, 이는 관절염 또는 다른 퇴행성 변화와 관련될 수 있습니다.
Joint effusion: 관절 내에 액체가 고여있음을 의미하는데, 이는 염증이나 손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Adhesive capsulitis: 관절낭의 염증과 관련된 ‘동결견’ 또는 ‘유착성 관절낭염’을 나타냅니다. 이는 어깨의 움직임이 제한되고 통증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