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공손한거북이
공손한거북이22.04.02

초끈 이론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미국드라마 중 빅뱅이론이라는 코믹 시트콤이 있는데요.

물론 코믹 드라마라 과학적인 이야기가 자세히 나오진 않습니다.

거기서 쉘든이라는 괴짜 천재캐릭터가 초끈 이론에 대해 연구하는데 뭔지 궁금합니다.

초끈 이론을 간단히 설명해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종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주를 구성하는 최소 단위를 끊임없이 진동하는 끈으로 보고 우주와 자연의 궁극적인 원리를 밝히려는 이론이다. 1970년대 초부터 등장하기 시작해, 1980년대 미국의 이론물리학자 존 슈바르츠(John H. Schwang, 1941∼)와 잉글랜드 물리학자인 마이클 그린(Michael B. Green, 1946∼)에 의해 본격적으로 대두되었다. 초끈이론은 끈이론에서 발전한 이론으로, 우주의 최소 단위가 마치 소립자나 쿼크처럼 보이면서도 이보다 훨씬 작고 가는 끈으로 이루어져 있어, 1차원적인 끈의 지속적인 진동에 의해 우주 만물이 만들어진다고 가정한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초끈이론은 이세상의 모든물질이 입자가아닌 초끈의 형태로 존재한다는 이론입니다. 이 초끈의 모양이나 패턴, 진동에따라 지금 우리가 관측하는 원자,전자,소립자,쿼크 등을 형성할수있다는 이론입니다.

    사실 이 이론은 수학적모델로 차원을 계산하다보니 굉장히 고차원이 필요하게되엇고 고차원을 설명하기위해서는 현재에 있는차원으로는 부족했기 때문에 만들어낸 이론입니다.

    초끈이론을 사용하면 많게는 10차원이 넘게도 계산이 가능해집니다.

    감사합니다.


  • 초끈이론은 우리가 평소에 생각하던 입자가 1차원의 끈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가정하고 시작하는 이론입니다.

    이 끈들이 진동하거나 장력 등에 따라 여러 패턴이 정해진다고 보고 있습니다.

    초끈이론이 사실이라면 양자역학과 일반 상대성 이론을 통합시킬 수 있어

    오랜기간 연구주제로 보고 있습니다.

    아직 실험적으로 증명되지는 않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