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폐가치는 왜 매년 떨어질수밖에 없는건가요?
화폐가치는 왜 매년 떨어질수밖에 없는건가요?
여태 살면서 화폐가치가 매년 떨어지는것만 보았는데요,
화폐가치가 상승할 수 있는 요건은 없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화폐 가치는 대개 경제 성장을 위한 중앙은행의 낮은 물가 상승률 목표, 시중 통화량 증가, 그리고 전반적인 수요 및 생산 비용 상승 등의 복합적인 요인으로 인플레이션이 발생하기에 하락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러나 간혹 경제의 불황으로 인한 디플레이션으로 중앙은행의 강력한 긴축 정책, 또는 특정 국가의 경제적 호황이 다른 통화 대비 자국 통화의 가치를 상승시키는 예외적인 상황도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사실 화폐가치가 떨어지는 건 너무 당연한 흐름으로 보입니다. 물가가 오르고 경제가 성장하면서 돈의 구매력이 줄어드는 거죠. 업계에서는 이걸 인플레이션의 자연스러운 결과라고도 합니다. 많은 투자자들은 그래서 현금을 오래 들고 있지 말고 자산에 분산시키라고 조언하곤 하죠. 제 생각에는 금이나 주식 같은 실물 자산을 조금이라도 섞어두는 게 현실적인 방어책일 수 있습니다. 뭐랄까 화폐가치가 오르는 경우도 있긴 한데 그건 디플레이션처럼 경기가 얼어붙을 때라서 또 다른 문제를 만들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화폐가치가 매년 하락하는 이유는 인플레이션에서 기인합니다. 화폐가치가 상승하려면 디플레이션이나 긴축통화정책 똔은 경제성장률의 지속적인 증가가 필요하나, 통상적으로는 안정적인 물가상승을 목표로 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화폐 가치는 일반적으로 매년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물가 상승률'에 따라 그 구매력이 하락하는 것입니다. 즉, 돈의 가치가 낮아지는 것이 아니라,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이 오르기 때문에 같은 돈으로 살 수 있는 양이 줄어드는 현상입니다. 중앙은행이 시중에 돈을 많이 풀거나, 정부가 재정 지출을 늘리면 시중에 돈의 양이 많아집니다. 돈의 양이 많아지면 돈의 희소성이 줄어들어 가치가 떨어집니다. 이것은 수요와 공급의 원리와 같습니다.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수요는 많아지는데 공급이 이를 따라가지 못하면 가격이 오르게 됩니다. 예를 들어, 특정 농산물의 흉작으로 공급이 줄면 가격이 급등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원자재 가격이나 인건비가 상승하면 기업의 생산 비용이 늘어나고, 이는 결국 제품 가격 인상으로 이어져 물가 상승을 유발합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그 이유는 지속적으로 화폐는 발행되는데 소각은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시중에 더욱더 많은 화폐가 풀리게 되며 결국에는 화폐 공급이 늘어나며
가치가 하락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는 자본주의 사회에 있는한 피할 수 없는 미래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화폐가치는 통화량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물가가 오르면서 자연스럽게 떨어집니다. 중앙은행은 경제 성장을 위해 통화를 공급하고 이는 인플레이션으로 이어집니다. 반대로 화폐가치가 오르려면 디플레이션이나 공급축소가 발생해야 하지만 이는 경기 침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 자본주의 현대 경제에서는 은행의 대출을 통한 신용창출과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으로 통화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합니다. 이는 통화의 가치가 지속적으로 하락하게 되고 이는 필연적으로 인플레이션이 발생하게 됩니다. 또한 정부의 재정지출이 늘어날수록 그만큼 부채의 양이 증가하게 되고 이는 그만큼의 통화량을 발행하고 지출수요를 증가시키므로 이는 결국 물가의 상승으로 일어나게 되는 효과로 이어지게 됩니다.
즉 부채레버리지가 증가할수록 화폐가치는 떨어질 수 밖에 없고 이는 자본주의 경제학에서 필연적이고 특히 은행의 대출이 자산을 담보로하여 증가하면 증가할수록 이런 가속도는 더욱 증가할 수 밖에 없는게 현재의 경제시스템구조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화폐 가치가 매년 떨어지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이렇게 화폐 가치가 떨어지는 것은
바로 시중에 계속해서 현금이
더 많아지기 때문에 내려가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화폐가치를 올리리 위해서는 시장에서 돈이 많이 순환되지 않도록하면 됩니다. 다만 그렇게 되면 내수경제가 활성화 되지 않기 때문에 생활이 각팍해질수 있습니다. 공장의 운영도 멈출수 있고요. 따라서 이러한 문제 때문에 화폐의 가치는 떨어지더라도 이러게 화폐를 보다 더 많이 내는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