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활발한당나귀246
활발한당나귀246

한·미 관세협상이 한국 산업 경쟁력에 주는 의미는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관세청과 무역협회가 공동으로 설명회를 열 만큼 한미 관세협상 타결이 주목받는데, 이 협상이 단순한 세율 조정이 아니라 한국 제조업 경쟁력이나 수출 다변화 전략에 어떤 시사점을 주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한미 관세협상은 세율 인하 자체보다 한국 산업이 미국 시장에서 안정적으로 입지를 확보할 수 있는 기반을 넓혀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 특히 자동차, 배터리, 철강처럼 대미 수출 비중이 높은 품목은 가격 경쟁력이 강화되고, 중소기업도 부품이나 소재 공급망에 더 쉽게 진입할 수 있습니다. 동시에 특정 품목 의존을 줄이고 첨단친환경 제품 중심으로 수출 구조를 재편하는 전략을 서둘러야 한다는 신호로도 해석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한미 관세협상은 단순히 세율을 낮추는 차원을 넘어 산업 구조에 직접적인 파급을 줍니다. 특정 품목의 관세 인하가 확정되면 우리나라 수출기업은 가격 경쟁력을 확보해 시장 점유율 확대 기회를 얻습니다. 동시에 미국이 요구한 조건을 충족해야 하는 부담도 함께 생기는데 기술 표준이나 환경 규제가 그 예입니다.

    제조업 입장에서는 단기적 수출 호재와 장기적 구조 전환 압력이 동시에 작동하는 셈입니다. 또 협상 결과가 다른 교역 상대국과의 협상에도 참고 사례로 쓰이기 때문에 수출 다변화 전략과 연계돼 의미가 큽니다. 결국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어떤 분야에 투자를 집중해야 할지 방향을 제시하는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한미간 관세협상의 합의는 일단 15%인 상호관세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이는 한국 제조업의 수출 경쟁력 강화나 글로벌 공급망 다변화에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일단 다른 국가들에 비해 불리하지 않은 관세를 적용받았고, 중국의 상황을 조금 더 지켜봐야 하지만 어려운 환경속에서도 한국기업이 수출을 할 수 있는 길은 열려졌다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에 대하여는 여러가지 해석이 있으나 일단 다른 나라에 비하여 크게 불리한 조건은 아닙니다. 특히 경쟁자인 동남아시아보다 낮은 세율이기에 유리하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 반면에 이러한 관세 15%자체가 큰 부담이기에 미국시장에 어떠한 영향을 끼칠지는 확인이 필요할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