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관세 발표 이후로 미국의 무역 수지가 개선되었나요?
미국이 관세 발표를 시작한지도 시간이 꽤 지났잖아요. 결국 트럼프는 무역수지를 개선하려고 관세를 부과한 영향도 있는데 실제로 이게 효과기 있을까 싶더군요.
그렇다면 미국의 관세 발표 이후로 미국의 무역 수지가 개선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미국이 관세 발표 이후로 미국의 무역 수지가 개선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이제 상호 관세가 유효화 되었기에
그 결과는 지켜봐야 할 것이지만
관세를 무조건 올린다고 무역 수지가 개선될 것으로 보이진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관세로 무역수지를 바로 개선하는 건 생각보다 간단하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실제로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 등 주요국에 관세를 부과한 이후, 일부 수입은 줄어든 면도 있었지만 전체적인 무역수지 적자는 오히려 더 커진 시기도 있었습니다. 이유는 다양했는데, 수입이 줄면서 수출도 함께 위축되었고, 미국 내 소비자들이 부담하는 비용도 올라가면서 무역 전체 흐름에 제동이 걸린 셈입니다. 숫자만 보면 관세가 단기적으로는 무역적자 해소에 크게 기여하지 못했다는 평가가 많습니다. 관세는 결국 ‘무역전쟁이라는 말이 붙을 정도로 반발을 불러오는 조치라서, 단순히 수지를 개선하려는 목적이라면 좀 돌아가는 길일 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4월 상호관세가 10%가 부과되면서 현재까지 일시적으로 상품수직적자가 감소되긴하엿으나 이후 흐름을 본다면 무역수지적자가 864억달러 적자 이후 935억달러 적자 6월 860억달러적자를 보였습니다.
즉 통계적으로 횡보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지 뚜렷하게 적자폭이 준다거나 하는 흐름을 보이고 있지는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4월 미국의 무역수지는 수입이 급감하면서 수지 적자가 상당히 개선이 되었습니다. 다만 이는 단기적인 무역적자 규모가 줄어든것이며 장기적으로는 무역수지가 개선되었다고 보기 어려우며 GDP 성장이 하락할 가능성이 큽니다.
관세로 무역적자 해소는 실질적 대안이 될 수 없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2025년 4월 트럼프 행정부의 대규모 관세 발표 이후 미국의 무역수지는 단기간 크게 개선되었습니다. 4월무역적자는 전월 대비 약 55% 감소해 19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고, 이는 수입이 급감한 영향이 컸습니다. 하지만 5월 이후 수출 감소와 일부 수입 반등으로 다시 적자폭이 다소 확대되어, 관세 효과는 일시적이었으나 무역수지 개선에는 분명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미국의 전체 무역수지는 여전히 대규모 적자 상태입니다. 2024년에는 약 9,180억 달러의 무역적자를 기록했고, 2025년 상반기에는 해당 규모가 더욱 확대되었습니다.
특히 2025년 6월 상품 무역 적자만 보면 전월 대비 10.8% 줄어든 860억 달러로, 거의 2023년 후반 수준까지 회복된 모습도 관측됩니다.
관세 부과 직전인 1분기에는 수입이 급증한 뒤, 2분기에는 수입이 급감하면서 GDP 성장률이 일시적으로 3% 성장으로 나타나기도 했습니다. 이는 무역 효과가 일부 GDP 수치에 반영된 측면도 있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한미간 관세 협상은 무역 심리 안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특히 제조업, 수출 지표가 개선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실제로는 협상 직후 보다 수개월 후 지표 반영이 나타나며 투자 심리, 소비지표등도 함께 회복세를 보이곤 합니다. 단, 세계 경기 여건이나 금리 기조에 따라 체감도는 다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의 관세 발표 시점을 2025년 2월로 생각한다면, 당시 -98.1B에서 지속 하락하며 3월 -130.65B, 4월 -123.2B, 5월 -138.3B, 6월 -60.3B, 7월 -71.5B으로 많이 개선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