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생활

생활꿀팁

재빠른들소8
재빠른들소8

사위와 장인어른, 장모님과의 촌수는 어떻게 되나요 ?

안녕하세요, 요즘 촌수를 잘 모르는 분들이 많은데요.

사위와 장인어른, 장모님과의 촌수나 ? 며느리와 시부모님과의

촌수는 어떻게 되나요 ?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Slow but steady
    Slow but steady

    아내와 남편이 무촌인 것처럼 아내의 부모도 나와 무촌이며 아내와 나의 부모님과도 무촌 입니다. 촌수라는 것은 나와 부모를 기준으로 피가 약간 이라도 섞인 친족을 말하는데 우선 기준점인 나와 아내가 무촌 이기에 아내의 친척은 나와는 무촌입니다.

  • 촌수는 혈연으로 이어진 관계를 촌수로 인정하는데요.

    부부는 0촌입니다.

    그리고 촌수를 계산할때는 나의 친인척관계를 촌수계산하고요.

    나의 친부모, 친자식과의 관계는 1촌입니다.

    배우자의 친부모, 친자식과의 관계는 1촌입니다.

    친자식과 아버지의 부모(친조부모)의 관계는 2촌입니다.

    그렇지만 여기에서 촌수를 계산하는것은 친척간의 관계에 대한 긴밀도를 측정하는 단위이기때문에 질문하신 범위의 촌수관계는 성립되지 않는것 같습니다.

    굳이 따진다면, 부부의 촌수는 무촌이고, 각 배우자의 부모, 자녀간의 촌수는 1촌이기때문에 배우자의 부모님은 1촌관계가 형성된다고 생각하시는게 맞지 않나 싶습니다.

    그리하여, 부부의 자녀가 부부의 형제자매를 이모,외삼촌,삼촌,고모 라고 부르는 호칭에는 조부모(2촌)의 자녀(1촌) 이 되기에 3촌수가 되고, 그 3촌수의 자녀(1촌)는 사촌관계가 형성됩니다.

    부의 형제자매의 자녀는 사촌이라 부르고

    모의 형제자매의 자녀는 이종사촌이라 부릅니다.

  • 질문 글에서 문의하신 모든 경우에서는 촌수 관계가 성립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무촌,즉 촌수가 없습니다.

    직계 존속, 비속과 같이 혈연관계로 이어질때만 촌수 관계가 생겨 납니다.

  • 부부간에 는 촌수가 0초니죠..

    부모나 자식간에는 1촌이죠.

    따라서 사우와 장모, 장인어른, 며느라와 시부모님간의 촌수는 모두 1촌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