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더멘탈과 주식시장과의 관련성에 대하여
펀더멘탈을 국가 주요 거시경제 지표라고 본다면 지금 주식시장에서 가장 중요하게 봐야 하는 지표는 뭐가 있을까요 역시 금리를 봐야 하나요
펀더멘탈이라는 것을 주요한 경제지표라고 본다면 현재 가장 주목해야 할 것이라고는 '기준금리의 변동성'과 '실업률' '달러환율의 변동'을 주목해야 해요
✅️ 장기적으로 그 나라 주식시장은 그 나라 GDP 성장률을 따라가기 때문에 GDP가 가장 거시적인 지표로써 중요하게 보셔야 하고, 또한 그 나라의 인구통계적인 부분이나 주식에 대해 어떻게 국민들이 생각하는지도 매우 중요합니다.
현재와 같은 경우에는 아무래도 미국의 기준금리가 핵심적인 지표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미국의 기준금리 기조에 따라서 주식시장이 요동치기 떄문이죠.
안녕하세요.
죄송한데 주로 사용하는 용어가 다른거 같아서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주식에서 펀더멘탈은 주로 그 해당 주식회사의 실적(매출과 이익, 또는 성장)을 말합니다. 그래서 이게 별로 안좋은데 소문만으로 많이 오른다던가, 거시경제가 안좋다는 이유로 많이 내렸다던가 전쟁이 났다고 해서 내린다던가 하는 움직임을 펀더멘털과 상관없는 변동이라 말합니다. 이걸 기회로 삼아 투자해서 돈을 보는걸 가치투자라고 하구요.
이와 상관없이 거시경제지표에서 지금 가장 중요한 것은 금리라 할 수있습니다. 이 금리의 방향을 정하는게 물가이구요. 그중에서도 미국의 PCE물가입니다. 그리고 고용관련 지표입니다. 실업률 임금 등입니다. 원유 등 주요 원자재 가격도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국가 주요 거시경제 지표 중에서 주식시장에서 가장 중요하게 봐야 하는 지표는 GDP 성장률, 실업률, 소비자 물가지수, 기업 이익 등이 있습니다.
질문하신 주식시장에서 가장 주목해야 할 지표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현재 모든 시선은 미국 기준 금리로 쏠리고 있기에
투자자로서 봐야 할 지표로는
소비자물가지수와 고용관련 지표들을 눈여겨 봐야 할 것입니다.
주식시장에서 가장 중요한 거시경제 지표중 하나는 분명 금리입니다. 금리는 대출 비용과 투자 수익률에 영향을 미쳐 주가에 직접 영향을 줍니다. 그리고 중앙은행의 금리 결정은 인플레이션, 통화 가치, 경제 성장 등 다른 많은 경제 요인들과도 연계되어 있습니다.
그 외에도 중요한 거시 경제 지표로 GDP 성장률, 실업률, 인플레이션율 등이 있습니다. 주식 투자시에는 금리 뿐만 아니라 이런 다양한 지표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판단할 필요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지금 주식시장에서 가장 민감한 것 중 하나가 미국 기준금리 인하시점이죠 그런 의미에서 미국의 물가상승률과 고용지표가 중요한 경제지표인듯 합니다 물가가 어느정도 내려가는지 고용지표가 얼마나 악화되는지 여부에 따라서 기준금리를 동결하냐 아니면 1~2회 인하하냐 기로인듯합니다 참고로 4월 미국 cpi 는 이달 15일에 발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