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벽주의 기질이 있는 아이들은 어떻게 해주시나요?
하나 틀리는것도 마음속에서 인정을 못하고 눈물부터 흘립니다. 완벽하게 다 맞고 끝내고 싶은 마음은 알겠는데 세상에 완벽한 사람이 없고, 그렇게 살면 너무 피곤하잖아요. 학교 생활도 그렇고. 어떤 식으로 교육해주고 지도해줘야 할까요?
완벽주의가 심한 아이는 기대치가 높은 아이, 항상 긴장되어 있는 아이, 정서가 불안전한 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아이를 칭찬할 때 평가의 말은 독이 되고 과정에 대해서 시도, 도전하는 행위에 대한 칭찬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맞고 틀리는 정답이 정해져 있는 활동보다는 비구조화된 활동을 하는 것이 좋으며
실수에 대한 언급은 하지 않는게 좋다고 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완벽주의 기질이 있는 아이들은 작은 실수에도 좌절할 수 있으므로 실패를 배움의 과정으로 인식하고 완벽함이 아닌 성장을 강조해 부담을 덜게 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완벽주의 기질은 나쁘지 않습니다. 자신의 일을 꼼꼼하게 처리하므로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믿어주세요~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완벽주의 기질이 있는 아이들을 지도할때는 우선 세상에 완벽한 것은 불가능하다는걸 알려줘야합니다 그리고 완벽하지않아도 충분하다는걸 이해시켜주세요
아이가 완벽주의를 추구하면서 스트레스를 받는 것은 매우 안타까운 일입니다. 이러한 증상은 종종 불안감이나 자신감 부족, 실패에 대한 두려움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일단 아이가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칭찬과 격려를 많이 해주세요. 작은 성공이라도 축하해주며, 아이가 스스로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그리고 실패는 누구나 겪을 수 있는 일이라는 것을 알려주고,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도록 가르쳐 주세요. 실패하더라도 다시 도전할 수 있는 용기를 심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래서 아이가 과도한 압박감을 느끼지 않도록 여유로운 환경을 만들어주세요. 예를 들어, 숙제나 시험 기간에는 충분한 시간을 확보해주고, 일정한 휴식 시간을 부여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니 아이와 함께 대화를 나누며 고민을 공유하고, 서로 의견을 나누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느끼는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해주면서, 적절한 조언과 방향제시를 해주면 됩니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이가 계속해서 스트레스를 받거나 어려움을 겪는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심리상담센터나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와 상담을 통해 보다 체계적인 치료와 관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
안녕하세요.
꼭 완벽하게 모든 일을 해결할 수 없다는 것, 그리고 모든 사람들은 실수를 하면서 살아가는 걸 알 수 있게 해주세요. 실수를 하거나 예상과 다르게 흘러갈 때 격려하면서 괜찮다고 말해주는 경험이 도움이 될 수 있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완벽주의 성향이 강한 아이들은 그만큼 자신이 부모님이나 주변 가족들에게 기대감을 많이 받고 있는 걸 느끼고 있다는 것입니다. 어찌 보면 굉장히 짠한 아이인데요. 이런 아이들에겐 너무 경쟁을 부추기거나 노력을 요구하시면 안됩니다. 아이가 자신이 할 수 있는 최대성까지 한다고 보시면 그만 자제를 시키거나 잘했다고 칭찬과 격려를 해주시고 충분히 잘 했다면서 마음을 안정시켜 주시는 게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결과 보다는 과정을 중요함을 가르쳐 주세요
노력한 부분을 칭찬해주고 실수를 성장의 기회로 삼도록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다른 사람이랑 비교하는 행동은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